•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Hundekalt 와 개춥다 - 접사와 어휘 사이의 형태소에 대한 논의 (Hundekalt und gaechupda – ein Morphem zwischen Wort und Affix)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0.09
19P 미리보기
Hundekalt 와 개춥다 - 접사와 어휘 사이의 형태소에 대한 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교육 / 78권 / 78호 / 103 ~ 121페이지
    · 저자명 : 최지영

    초록

    형태소 hund/Hund-와 개-는 공통적으로 보통명사로서의 본연의 의미를 잃고 우측성분으로 등장하는 어휘핵의 의미를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공통된 특성을 갖는다. 형태적 측면에서의 두 가지 상이한 관점을 정리해보면 그 중 하나는 hund/Hund-와 개-를 각기 준접두사 및 접두사로 보는 관점이며, 다른 하나는 각 언어에서 hund/Hund-는 명사로, 개-는 부사로 보는 관점이다. 두 번째 관점에 있어서는 각 언어별로 명사와 부사라는 품사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어휘, 즉 자립형태소의 범주에 속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다시 말하면 형태적 측면에서의 논점은 두 언어에서 형태소 hund/Hund-와 개-를 접사 범주로 설정할 것인지, 아니면 어휘 범주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한지의 문제로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논점을 다루는데 있어서 이 논문의 관심사는 앞서 언급된 선행연구들에서처럼 이들을 접사나 어휘 중 어느 한 범주에 귀속시키고 그 타당성을 주장하는데 있지 않다. 혹은 특정한 문법이론에 입각하여 통시적 관점에서 관찰 가능한 형태소의 기능 변화 과정을 추정하려 하지도 않는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들의 주요 논점들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의미와 기능 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형태소인 것으로 판단되는 hund/Hund-와 개-가 각기 독일어와 한국어에서 보이는 특성을 공시적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그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m Mittelpunkt dieser Arbeit steht das Morphem hund/Hund-, das als linke Konstituente eines komplexen Wortes erscheint. Es gibt verschiedene Ansichten zu der morphologischen Kategorie dieses Morphems. So halten Elsen(2009), Ascoop(2006) und Leuschner(2010) es für ein Affixoid, das sich zwar verhält wie ein Affix, aber gleichzeitig wie ein Wort aussieht, da es ein gleichlautendes, etymologisch verwandtes Lexem gibt. Im Gegensatz dazu gehen Meibauer(2013) sowie Booij(2010) davon aus, dass es sich um ein Wort handelt, und zwar um ein Nomen, das mit der rechten Konstituente zusammen Determinativkomposita bildet. In Bezug auf das Morphem gae- im Koreanischen, das sich als Pendant zu hund/Hund- auffassen lässt, gibt es ähnliche Kontroversen darüber, ob es sich dabei um ein Präfix oder ein Wort, in diesem Fall ein Adverb, handelt. In dieser Arbeit werden in synchronischer Sicht die Ansätze zu dieser Problematik dargestellt und die jeweiligen Vor- und Nachteile kritisch diskutiert, wobei keine endgültige Entscheidung zwischen Wort und Affix getroffen werden kann. Die Zuordnungschwierigkeit liegt nämlich an der morphosemantischen Natur dieser Morpheme als Zwischenkategorie. Ihre gemeinsame Funktion der Intensivierung eröffnet jedoch einen Ausblick, sie als morphologische Realisierungen der funktionalen Kategorie Deg(ree) zu betrachten. Ihr grammatisches Merkmal, der [Grad], lässt sich sowohl als freies als auch als gebundenes Morphem realisie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