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양개유적 Ⅵ지구 후기 구석기시대 밀개의 제작과 사용 (An Analysis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End-scraper in the Upper Paleolithic on Suyanggae Site Loc. Ⅵ)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0.12
28P 미리보기
수양개유적 Ⅵ지구 후기 구석기시대 밀개의 제작과 사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39호 / 133 ~ 160페이지
    · 저자명 : 김은정, 윤병일

    초록

    수양개유적 Ⅵ지구, 후기구석기시대에 해당하는 4개의 문화층에서 출토된 밀개는 모두 354점이다. 각각 문화층별로 집계하면 지표 및 겉흙층 바로 아래의 1문화층에서 8점, 2문화층 332점, 3문화층 13점, 가장 아래의 4문화층 1점 등이다. 특히 후기구석기시대 후반기에 해당하는 2문화층에서 밀개 제작이 집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층별 밀개의 형태와 속성을 비교한 후, 보다 집중적으로 제작된 2문화층 밀개의 제작기법을 분석하여 제작과 사용에 따른 형태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문화층별 밀개의 형태 및 속성을 비교한 결과, 길이는 4문화층-3문화층-2문화층-1문화층 순으로 점차 작아지는 경향성을 볼 수 있다. 이로 볼 때 대체적으로 이른 시기의 밀개가 보다 크고 무거운 반면, 시기가 지나면서 점차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너비와 두께는 4문화층과 3문화층의 밀개가 보다 큰 반면에, 2문화층과 1문화층은 보다 좁아지고 얇아짐을 볼 수 있다. 특히 2문화층의 밀개는 너비와 두께, 그리고 무게의 값이 가장 작으면서도 일정 구간에 집중되는 현상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곧 일정한 크기의 격지를 선택하여 밀개를 제작했던 규격화 경향을 엿볼 수 있다.
    2문화층 밀개는 압도적인 출토 수량, 규질 석재 및 규격화된 몸체의 선택성, 정형화된 몸체로 조정하는 기법 등으로 볼 때 다른 문화층과의 뚜렷한 차이를 볼 수 있다. 이는 2문화층 집단의 밀개 제작에 대한 보다 특화된 일면, 즉 전문성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일정한 크기 및 형태의 몸체를 준비하는 공정이 도구 제작에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날 형태의 평면 및 단면 모습의 차이에 기반하여 제작-수리 및 재생-폐기의 3단계 변화 과정을 추정해 보았다. 이를 통해 정형화 유형 밀개의 제작 및 재생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었으며, 제작-수리 및 재생-폐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날을 관리해 나가는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vestigation to the Suyanggae site Loc.Ⅵ was carried out for construction of a weir in 2013 to 2015. There were discovered 4 Upper Paleolithic cultural layers from Mis 3 to 2, and 40,679 pieces of Paleolithic remains excavated. Among them, 21,744 artifacts were excavated from the Cultural Layer 2, from Syanggae Site Loc. VI, which are divided into manufacturing products (20,695pieces, 95.1%) and tools (1,049pieces, 4.9%) (이융조 외 2018). Among tools, there were 332 end-scrapers, accounting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ools from the Cultural Layer 2. Among raw materials, rhyolites and shales took 84%, with use of silicic stones including tuff, hornfels and obsidian. There were only 16 quartz raw materials found. Among blanks, flakes including blades took 96% while use of debris was only 13 cases. Furthermore, all of end-scrapers from Cultural Layer 2 were found in long length by simple comparison between length and width. However, end-scrapers from other Cultural Layers were similar in its length and width, close to thick square form. In terms of manufacturing technique, consistency in size, especially the width within specific range compared to the length, indicates that both edges of long flakes were almost uniformly retouched in end-scraper from the Cultural Layer 2. Likewise, distinctive difference was determined in quantity of excavation, selection of silica stone and flake blank, specification of consistent shape and width of end-scraper between Cultural Layer 2 and other Cultural Layers. Such difference shows more sophisticated manufacturing of end-scraper from Cultural Layer 2.
    1) Two Types of End-scraper ManufacturingThe length of end-scraper from Cultural Layer 2 is quite long compared to the width. The width is limited to specific size while its length is in wide variation. Thes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unique manufacturing technique, uniformed retouching in both edges or one edge of flake (TypeⅠ=standardization). Meanwhile, there was also cases of non-retouching in the edges of flake (Type II= non-standardization). Two types of end-scraper manufacturing, Type I and II, are classified based on the presence of retouch at the edges. The number of Type I (78%) was found larger than Type Ⅱ (22%).
    Furthermore, the number of end-scrapers undamaged were double of the destroyed in Type I, with more end-scrapers destroyed found in Type I. It suggests the low breakage rate in Type I made more carefully and the high breakage rate in Type II relatively simply manufactured. The banks of Type II show medium length and various thickness, among which the all basal ends of thin blanks were found as destroyed condition. In addition majority of blanks in Type Ⅱ were indeterminate forms and showed a number of cases of cortex on dorsal face, indicating a number of early-stage flake. In short, Type Ⅱ end-scrapers were manufactured with convenience or circumstance stones compared to Type I.
    2) Step: Manufacturing - Repairing - Disuse(or abandonment)The shape and curvature of end-scraper blade were mostly uniformed while the size of blank varies. The shape of end-scraper edge is basically circular-edge, which can be classified as wide circular-edge, narrow circular-edge, nose form-edge, pointed edge, straight-edge and etc., according to the blank size and retouch. Such subclassification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not only retouching in manufacturing but also repairing of blade occurring in use. repairing of edge can be a clue for group activity at the time.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end-scraper from Cultural Layer 2 was to be understood in the course of 3-step, manufacturing-repairing- disuse(or abandonment).
    3) Characteristics of End-scraper by TypeThe end-scrapers were classified as two types (Type I and Ⅱ) which were subclassified as 3 stage based on the condition of edge. As a result, Type I was identified as 89 end-scraper in Stage I, 62 in Stage 2 and 32 in Stage 3. For Type I, 49% of end-scrapers was in manufacturing step, while 34% in repairing step and 17% in disuse step. For Type Ⅱ, 42% (22) of end-scrapers was in manufacturing step while 28% (15) in repairing step and 30% (16) in disuse step. In other expression, the ratio of manufacturing:repairing:disuse was 3:2:1 for Type I and 1.4:1:1 for Type II. In conclusion, Type I was close to active manufacturing and repairing and management of the edge was consistent over manufacturing-repairing-dis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박물관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