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화풍 무신도의 일례-마포 복개당(福介堂) 무신도 (A case of Musindo of Buddhist paintings sty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3.06
14P 미리보기
불화풍 무신도의 일례-마포 복개당(福介堂) 무신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화 / 18호 / 32 ~ 45페이지
    · 저자명 : 김윤정

    초록

    복개당은 1970년대 도시개발로 사라진 서울의 마을 제당 중 하나였다. 복개당 관련 유물에는 13점의 무신도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무신도들은 현전하는 무신도들 가운데도 정밀하고 불화풍이 많이 느껴지는 두드러지게 잘 그려진 예이다.
    무신도의 화풍은 일반적으로 민화형과 불화형으로 구분하는데, 이러한 화풍의 차이는 제작자가 누구인가와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무신도는 그림을 잘 그리는 무속인, 무신도 전문 화공, 사찰의 탱화를 그리는 스님들이 제작에 관여해왔다. 민화형 화풍은 무속인 또는 무신도 전문 화공에 의해 그려진 그림에서 주로 보이고, 불화형 무신도는 화승에 의해 제작된 예가 많다. 복개당의 경우 구체적인 참여자의 이름이 적힌 중수기가 남아있어 화풍과 함께 불화풍 무신도의 대표적인 사례가 된다. 특히 1868년 중수에는 석화사가 참여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이곳 무신도에서 보이는 불교적 색채의 연원도 짐작 할 수 있다.
    복개당 무신도는 재료와 화풍으로 3개의 그룹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이 가운데 제1그룹과 제2그룹은 모두 불화풍으로 잘 그려진 무신도의 예를 보여주는데, 안료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그 제작 시기는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제1그룹의 무신도는 ① 1829년 이전에 불화풍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화사들에 의해 그려져 이후 두 번의 중수를 거쳐 현재까지 보존되어왔거나, ② 1829년 첫 번째 중수 이후부터 1868년 두 번째 중수 사이 어느 시점에 그려졌을 가능성 생각해 볼 수 있다. 제2그룹의 무신도는 셸레즈 그린의 검출로 1868년 중수시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더욱 짙어졌다.
    복개당은 불당과 친연성을 보이고, 무신도도 불화와 친연성을 보인다. 이러한 당집 또는 당집과 관련된 그림에서 불교의 영향이 보이는 것은 민간 신앙과 불교의 습합이라는 사회적 배경에서 가능했을 것이다. 불교는 특히 서민층에서는 토착민간신앙과 습합을 통해 생활문화전반에 영향을 미쳐 왔다. 따라서 무속을 비롯한 토착민간 신앙의 현장에 불교적 영향이 미치는 것은 생활문화면에서 매우 익숙한 모습이다. 복개당 무신도 제작자로 적혀있는 3인의 화승은 19세기 후반기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화승들이다. 이들의 작품 가운데 복개당 무신도와 화풍을 비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예를 제시할 순 없었지만 유사시기 불화와 복개당 무신도와의 유사성 비교를 통해 인물, 의습 등 세부 표현에서 불화적 색채를 살펴볼 수 있었다. 복개당과 같은 예는 조선 말기 민간에서의 불교와 민간신앙의 인적, 물적 교류, 불화와 민화의 조우와 확장의 일례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Bokgaedang was a place in Seoul where village rituals were held, but it disappeared due to urban development in the 1970s.
    Among the artifacts related to Bokgaedang, there are 13 paintings depicting musindo. These musindo paintings are the style of Buddhist paintings. The style of musindo paintings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folk painting style and Buddhist painting style, and this distinction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artist who created them. The style of musindo paintings is typically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folk painting style and Buddhist painting style.
    The difference in these painting styl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artist who created them. In the realm of musindo painters, there are skilled shamans who excel in painting, specialized artisans in musindo, and monks who depict religious paintings in temples. The folk painting style musindo is predominantly seen in the paintings of shamans or specialized artisans in musindo. The Buddhist painting style musindo is observed in the paintings of Buddhist monks. Bokgaedang underwent two repairs, and there is a record listing the names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repairs, including the name of the Buddhist monk who painted the pictures.
    Bokgaedang musindo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materials and painting styles. Among them, the first and second groups exhibit well-executed musindo in the Buddhist painting style. Based on pigment analysis data, it is estimated that these two groups were painted during different periods. The musindo of the first group may have been painted either before 1829 and painted until the present, or between the first repair in 1829 and the second repair in 1868.The presence of Scheele's Green pigment detected in the musindo of the second group further strengthens the likelihood that the artwork was created around 1868. Bokgaedang shows a close affinity with Buddhism, and the musindo of Bokgaedang exhibits a strong association with Buddhist painting. Bokgaedang exhibits a close connection with shamanism, and the musindo also demonstrates an association with Buddhist painting. The presence of Buddhist influences in these temple-related paintings suggests the societal context of syncretism between folk beliefs and Buddhism. Buddhism, especially among the lower classes, has exerted influence on various aspects of everyday culture through the amalgamation with indigenous folk beliefs. Therefore, the Buddhist influence on the field of indigenous folk beliefs, including shamanism, is a familiar sight in terms of everyday cultural practices. I couldn't find any specific examples in the records from 1868 that directly compare the musindo of Bokgaedang with its painting style. However, through comparing the similarities between musindo and Buddhist paintings from a similar period, we were able to examine the Buddhist color palette in the depiction of figures, customs, and other detailed expres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