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를 보는 두 개의 시선, 구봉성리학과 양명심학 (Two Eyes to See the World, Gubong’s Neo-Confucianism and Yangming’s Xinxu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3.03
40P 미리보기
세계를 보는 두 개의 시선, 구봉성리학과 양명심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68호 / 63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세정

    초록

    조선시대 16세기의 대표적인 성리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면서 이황, 기대승, 이이, 성혼 등에 비해 제대로 주목을 받지 못했던 송익필(宋翼弼, 1534~1599)은 2010년대 들어 구봉문화학술원을 중심으로 연구가 활성화되면서 그의 생애와 교우 관계는 물론 성리학, 예학, 수양론, 경세사상, 문학사상, 예술 등 다각도에서 입체적으로 조망되고 있다. 그럼에도 성리학 안에서의 비교연구는 물론 타 학문과의 비교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비교연구는 그 사상이 갖고 있는 특성을 드러내는 데 있어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비교과정에서 두 사상의 융ㆍ복합을 통해 새로운 사유의 길을 열어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송익필의 성리학과 왕수인(王守仁, 1472~1528)의 심학, 즉 구봉성리학과 양명심학을 비교하였다. II장에서는 송익필과 왕수인의 우주관에 관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송익필의 이기론적 우주관과 왕수인의 천지만물일체론적 우주관을 다루었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두 사람의 인간관과 심성론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기론에 근거한 성즉리설을 바탕으로 인간심성론을 펼치는 송익필과 천지만물일체설에 근거한 심즉리설(心卽理說)과 치양지설(致良知說)을 바탕으로 인간심성론을 펼치는 왕수인의 인간관을 다루었다. 마지막 IV장에서는 II과 III장에서 다룬 내용을 중심으로 구봉성리학과 양명심학을 비교하면서 두 사상의 다름과 두 사상이 지닌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가 다원화되고 사상의 다양성이 존중되는 오늘날에 있어, 유학사상 안에서의 다양성, 예컨대 구봉성리학과 양명심학과 같이 서로 다름은 유학의 발전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본다. 서로 다름이 만나 과거로의 회귀가 아닌 새로운 창조의 길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Song Ik-pil(宋翼弼, 1534-1599)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Neo-Confucian scholars of the 16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but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compared to Lee Hwang, Gi Dae-seung, Yi I, and Seong Hon. However, entering the 2010s, with the Gubong Cultural Academy as the center of his research, his Neo-Confucianism, propriety studies, self-cultivation theory, economic thought, literary thought, and art, etc. as well as his life and friendships are viewed from multiple angles. Nevertheless, comparative studies with other disciplines as well as within Neo-Confucianism are very lacking. Comparative research is not only effective in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ought,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open a new way of thinking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two thoughts in the process of comparison. Therefore, in this paper, Song Ik-pil’s Neo-Confucianism and the Xinxue(心學, Learning of the mind) of Wangshouren(王守仁, 1472-1528), namely Gubong’s Neo-Confucianism and Yangming’s Xinxue were compared. In Chapter Ⅱ, the view of the universe of Song Ik-pil and Wangshouren was considered. Specifically, Song Ik-pil’s cosmological view of the theory of Liqi(理氣論) and Wangshouren’s cosmological view of the theory of Heaven and Earth and All Things being One Body(天地萬物一體說) were dealt with. And in Chapter Ⅲ, the two people’s view of human beings and the theory of mind were discussed. The view of human beings of Song Ik-pil who spread the theory of human mind based on the theory of Xingjili (性卽理, Nature being Principle), and the view of human beings of Wangshouren who spread the theory of human mind based on the theory of Heaven and Earth and All Things being One Body, and the theory of Zhiliangzhi(致良知, Perfection of Innate Knowledge) were dealt with. In the last chapter Ⅳ, the difference and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thoughts were reviewed while comparing Gubong’s Neo-Confucianism and Yangming’s Xinxue, focusing on the contents dealt with in chapters Ⅱ and Ⅲ. In today’s world where society is diversified and the diversity of thoughts is respected, diversity in Confucian thought, such as Gubong’s Neo-Confucianism and Yangming’s Xinxue, can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This is because differences can meet and move forward on a new path of creation, not a return to the p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