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항기 부산의 일본인 상인과 부산수산회사 (Japanese merchant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Pusan and their fisheries company)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5.11
47P 미리보기
개항기 부산의 일본인 상인과 부산수산회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69호 / 417 ~ 463페이지
    · 저자명 : 이시카와 료타

    초록

    본고는 19세기 말 조선 출어 일본어민이 생산한 가공 해산물의 유통기구가 나가사키(長崎) 화상(華商)과 재조서 일본상인 간의 경쟁관계 속에서 형성된 과정을밝힌다. 1860년에도 막부의 유통 통제가 해체된 후 일본 국내산 해산물의 집산지의 지위를 잃게 된 나가사키 일본상인들은 조선에 출어하는 일본인 어민의 생산물을 독점적으로 집하하고 화상을 통해 상하이 등에 수출했다. 한편 부산 일본상인은 이것에 대항하여 1889년 부산수산회사를 조직하여 출어 어민들의 해산물을 매입하고 중국 천진에 직접 수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수출 시장 정보의 수집 및 송금 시스템 구축에 불안한 상태에서 부산수산회사의 시도는 완전한 성공을 이르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부산수산회사 등 재조선 일본인 상인이 매입한 제품은 일본에 있는 화상의 손을 빌려 수출되게 되었고 상호 의존적인 수출구조가형성되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the author describes the international distribution system of Korean marine products··· i.e. dried Bicho de Mar, dried shark’s fin.
    and dried abalone··· from 1870 to 1900. Those commodities were produced on the coast of Korea and consumed mostly in North-China. The analysis tries to locate Korea in the intra-Asian trade network during this period.
    After the opening of Korea in 1876, marine products began to be exported from Korean treaty ports to Shanghai and other Chinese ports via Nagasaki. These were produced by indigenous Korean fishermen and transacted by Japanese merchants residing at Korean ports and Chinese merchants at Nagasaki. After the mid-1880’s. Japanese fishermen coming to Korea seasonally increased sharply. They produced marine products too, and carried their products to Nagasaki by themselves, without going through Korean treaty ports. These products were also exported to China by Chinese merchants at Nagasaki.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Chinese merchants at Nagasaki initiated the formation of the international distribution system of Korean marine products.
    Japanese merchants at Korean ports were mostly excluded from the trade in the products of Japanese fishermen, although these accounted for a fairly large proportion of Korean marine products. So, as modernistic services related to international trade (regular liners, trade exchange services, business firms, and so on) were gradually set up, Japanese merchants in Korea tried to export Korean marine products directly to Tianjin and other North-Chinese ports by themselves, so to re-organize the distribution system profitably for them. This direct exporting, although interrupted by the Sino-Japanese War, continued to increase. On the other hand, in Nagasaki, the ability of Chinese merchants to collect cargos declined on 1890’s, because Japanese fishermen, who had come seasonally to the Korean coast, began to settle there. Contrarily, the ability of Japanese merchants at Korean ports to collect cargos rose for the same reason.
    However, some Japanese merchants in Korea did not export marine products to China directly, but rather to Nagasaki. In these cases, Japanese merchants intended to take advantage of Chinese knowhow in marine product transactions, and offered their ability to collect cargos.
    In conclusion, Korea, after its opening, was included in the trade network of Chinese merchants at Nagasaki,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ducing centers of marine products for shipment to China. Japanese merchants in Korea tried to partake in the trade of these products. In some cases, Japanese merchants were hostile to their Chinese counterparts, but in other cases they were co-operative and inter-supplement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