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항기 ‘체육’ 담론의 수용과 특징 (Characteristics of Modern Physical Education Discourse in the late 19th Century Kore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4.12
34P 미리보기
개항기 ‘체육’ 담론의 수용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연구 / 27권 / 115 ~ 148페이지
    · 저자명 : 김현숙

    초록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미진했던 부분들, 즉 개항기 체육에 대한 정보와 지식이 처음 소개‧유입되는 시점과 다양한 수용 통로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조선적 체육담론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과 특징, 그리고 체육교육과 제국주의 국가들과의 상관관계를 추적해 보았다.
    개항기 조선에 도입된 체육과 운동은 서양처럼 개인의 다양한 목적과 다양한 운동 종목을 즐기는 것이 아니었다. 체육과 운동회의 이면에는 정부와 계몽사상가들의 ‘충량한 근대인 만들기’, ‘국가의 부름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애국적 신체 만들기’라는 면밀한 기획에 따라 엄격한 규칙과 규율이 적용되고, 치열한 생존경쟁이 도입되며, 민족주의적 색채가 덧씌워진 것이었다. 더 이상 우리의 몸은 개인이나 가족의 것이 아니라 국가와 민족을 위해 존재하는 몸으로 분류‧배치되었다. 이렇듯 조선의 체육담론은 민족주의가 내면화되는 장이자 새로운 근대인을 제조해내는 신체 권력으로 고안되었고, 학교의 체육교과를 통해 실현‧확산되었다. 한편, 근대적 신체는 만드는 주체에 따라 역이용 될 수도 있는 것이었다. 서양 군인들에 의해 전유되었던 외국어학교의 경우 그러한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실제로 아어학교 졸업생은 러일전쟁기 러시아의 첩보활동에 동원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haping up of Korean modern physical education(PE) discourse. The author tries to elaborate the adoption of various discourse related to the physical education(PE) in detail and asserts that the diplomatic envoys to Japan in 1881 was the first occasion to understand and to adopt physical education to the Korean Government. Soon Koreans began to accumulate deep knowledge on the physical education through newspapers, reports and books written by overseas student and foreign envoys.
    The typical Korean modern physical education acquired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ism and modernism as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intellectuals found it useful in making disciplined and healthy body which was required in the industrial sector and military unit. The Education Department in Gapo Government adopted military training in the high school PE class. This was to train high school boys as modern pre-soldiers in times of trouble and national ordeal. For that reason, they had employed retired military personnel as the teachers for the PE class.
    On the whole the author asserts that PE class was used to internalized royalty, patriotism and nationalism to students and was also used as a means to make 'modern men with modern body'. Which meant to train human body to response readily to the orders and be faithful to the Emperor. However the patriotic intellectuals tried to train our body to response to the orders of the nation state. This kind of norm and discourse was propagated through school PE class.
    The author also argues that this PE class was also used as the infiltration ground for imperial countries. For example, in Russian School led by former Russian colonel, trained Korean youth and later used them in Russian military espionage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