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쟁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 『스물네 개의 눈동자』와 『몽실 언니』를 통해 - (Two Eyes Looking at the War : Through Twenty Four Eyes and Sister Mong Sil)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6.12
23P 미리보기
전쟁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 『스물네 개의 눈동자』와 『몽실 언니』를 통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語文學 / 1권 / 71호 / 133 ~ 155페이지
    · 저자명 : 서기재

    초록

    본 연구는 일본의 전쟁아동문학 중 가장 대중에게 호응을 얻었던 『스물넷의 눈동자』와 한국에서 전쟁을 소재로 한 아동문학 중에서 큰 인기를 얻었던 『몽실 언니』에 나타난 전쟁 표현양상을 비교하고, 아동을 위한 전쟁이야기의 존재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이 두 작품의 작가는 각각 태평양전쟁을 경험한 세대로, 이들 문학의 전쟁은 그들의 삶을 반영한다. 그리고 작품의 소재나 분량, 전쟁에 대한 시각 등을 고려 할 때 비교할 만한 가치가 있다. 전쟁아동문학에 대한 연구는 미개척 분야로, 특히 한국과 일본 전쟁아동문학의 비교는 앞으로 적극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왜냐하면 아동의 전쟁에 대한 인식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개인의 문제를 벗어나 집단, 사회, 국가 속에서 반드시 그대로 발현되기 때문이다. 『스물넷의 눈동자』에 있어서의 전쟁은 ‘누군가’가 저지른 잘못이라는 형태로 전쟁주체가 사라진 채 이야기되며, 피해자 일본인이 강조된다. 한편 『몽실 언니』의 전쟁은 이것이 누구에 의하여 왜 일어나는 것인지에 대한 주인공의 질문과 대답이 있고, 전쟁의 본질을 꿰뚫는 통찰력이 있으며, 선/악의 이분법적 구도에 배치하지 않는 전쟁 상황의 이해를 유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슷한 시기에 유사한 소재를 가지고 각각의 나라에서 기술되었던 전쟁아동문학을 비교함으로써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일본인의 ‘전쟁 가공(加工)’의 핵심에 존재하는 ‘피해자 의식’의 정체에 대해 파헤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ill discuss about how they describe the war and the meaning of the war to the children at that time in the literature of TwentyFourEyes which was very popular to the public in Japan among the Japanese children war literature and a Korean children fiction, SisterMong-Sil which was written in the context of the war in Korea. Each author of the books lived in the time of the Pacific war and the story in the book represented their own life at war. It would be important to compare the two literatures on its contents, length of the story and their views on the war. The children war literature is still an unexplored field.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hildren literature on the war would be interesting and should be encouraged to be actively studied in the future. It is because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war through their reading of books about the war in their childhood will play a great role to determine not just only their personal issues but also social and national ones when they grow up. In this study, we will identify a sense of victimization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Japanese ongoing manipulation of the war crimes by comparison between the children literature on the war in Korea and Japan which were written in the same period with the similar themes in each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語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