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 개의 정물화, 두 개의 현상학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 (Two pieces of still life, Two features of phenomenology-M. Heidegger and M. Merleau-Pon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8.05
31P 미리보기
두 개의 정물화, 두 개의 현상학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학과 현대철학 / 37호 / 161 ~ 191페이지
    · 저자명 : 송석랑

    초록

    회화에는 하나의 ‘철학적 관념’을 허용하고 이탈하며, 심지어 우리가 미처 예기하지 못한 경지로 까지 이끌어 갈 힘의 여백, 달리 말하자면 ‘말하여진 채 말하여지지 않은’ 혹은 ‘말하여지지 않은 채 말하여진’ 시적 의미가 있다. “최초의 언어”가 (넓은 의미에서의)시라면, 시의 말은 철학적 언어의 본질이며 ‘시적 감각’은 철학적 지성의 본질이다. 이 글은 ‘시적 감각’ 속에서 복원한 ‘본질의 지성’으로써 탈(脫)근대의 ‘철학적 관념’을 달리 제출했던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가 각각 ‘부재의 현상학’과 ‘현존의 현상학’의 논리로써 ‘고흐의 정물화’와 ‘세잔의 정물화’에 내렸던 의미해명을 경유, 탈근대의 더 나은 ‘철학적 관념’이 모색될 하나의 유력한 길을 ‘시적 감각’을 통해 제시하는 성취에 닿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하이데거와 메를로-뽕띠에게 먼저 있고 나서야 비로소 그들의 ‘철학적 관념’이 가능했을 ‘시적 감각’>의 전형에 다름 아니었던 <고흐와 세잔의 정물화 -여기서는 ≪끈 달린 구두≫와 ≪푸른색 꽃병≫- 의 감각>을 논의의 양축으로 삼아 <이전의 회화론을 제치며 ‘철학적 관념’을 새로이 생산하는 하나의 회화론이 또 다른 회화론 위에서 사용되는 가운데 ‘철학적 관념’이 재생산되는 과정>의 한 경우를 짚은 뒤, 회화의 ‘시적 감각’의 의미로서 함축된 근대극복의 성취와 한계 및 과제를 논급할 것이다.

    영어초록

    Painting that thinks mutely the proper essence of the world can be regarded as a “silent science.” And because of the painter's vision of continued birth there is the force of a margin in that painting, in which the force permits and flees a philosophical idea and moreover leads us to a stage that hands over an unexpected one. In other words the force is a rupture ; it is exactly the rapture of the poetic meaning as ‘what is said in the unsaid’ or ‘what is unsaid in the said.’ If language that speaks foremost is in a broad sense poetry, then the word of poetry is the essence of the philosophical language, and then ‘the poetic sensation’ is the essence of the philosophical intelligence in which a ‘philosophical idea’ originates. This paper lays its own purpose under clarifying the one of the gropes that are based on the ‘poetic sensation’ for the philosophy of post modern age, from which we can take a better way to the ‘real concrete-philosophy our contemporaries need.’
    For such a purpose this paper first will be to go by way of ‘the essay on painting’ of M. Heidegger and of M. Merleau-Ponty who present differently post modernistic ‘philosophical idea’ through ‘the intelligences of the essences’ they restored uniquely in the poetic sensation of art. Looking for the former's phenomenological explication for the still life of Gogh and for the latter's that of Cezanne in order to practice that work, this paper -in using both the sensation of Gogh's the still life(≪Old shoes with laces≫) and that of Cezanne's the still life(≪Blue vase≫) as two axes, and in laying bare the process in which painting reproduces constantly a ‘philosophical idea’ that aries only after a poetic sensation of painting has been previously experienced -elucidates not only the achievement and limitation but also the task of the philosophy to overcome its own moder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