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張介賓 鬱證論治 연구 (Zhang Jiebin(張介賓)’s Discussion and Treatment of the Depressive Patter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2.11
20P 미리보기
張介賓 鬱證論治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35권 / 4호 / 77 ~ 96페이지
    · 저자명 : 배정운, 박기호, 류정아

    초록

    Objective : 鬱證에 대한 張介賓의 醫論과 治法을 고찰하고, 특징과 의의를 알아서 현대 임상에 참고하고자 하였다.
    Method : 『景岳全書』 「雜證模・鬱證」 원문, 鬱證 관련 『黃帝內經』의 원문 및 주석 그리고 金元四大家 醫書의 내용을 분석하고, 醫論의 발전과정을 살피며 비교・고찰하였다.
    Result : 張介賓은 情志로 인한 氣의 변화가 병리 상태를 초래한 기전에 주목해 鬱을 怒鬱, 思鬱, 憂鬱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素問・六元正紀大論篇』의 五鬱과 治法에 관해 王冰, 滑壽, 王安道의 주석을 대조하며 實證 위주로 보던 관점을 虛證으로 확장하였고, 瀉法 위주의 治法도 손상된 精氣를 회복시키는 補法으로 확장하였다. 怒鬱, 思鬱, 憂鬱을 虛實로 세분화해 神香散, 壽脾煎, 歸脾湯 등의 처방을 제시하고, 鬱證이 情志 즉 心에서 기인함으로 情을 직접 다스리는 移情變氣療法을 제시하였다. 張介賓은 鬱의 범주를 확장시킨 朱震亨의 의견을 채택하였으며 虛實의 관점에서는 李東垣과 가장 유사하였다.
    Conclusion : 張介賓 이전의 鬱證은 實證의 측면에서 언급되어왔던 반면 張介賓의 怒鬱, 思鬱, 憂鬱 중심 鬱證은 情志의 鬱에 주목하는 동시에 虛證의 鬱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관점이 확장되었다. 鬱을 다스리는 治法 또한 虛證에 대한 補法을 더하였으며, 情志 자체에 대한 치료적 접근이 필수적이게 되었다.

    영어초록

    Objectives : This paper examines the medical treatise and treatment methods of Zhang Jiebin on the depressive pattern, for clinical application today.
    Methods : The Zazhengmo/Yuzheng chapter of the Jingyue Quanshu, related texts and annotations of the Huangdineijing, and related contents among the medical texts of the JinYuan masters were analyzed.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medical theories were compared and examined.
    Results : Zhang focused on the mechanism in which emotion affects Qi leading to a disease state, and categorized Yu[鬱, depressed state] into three: anger depression, contemplative depression and comprehensive depression. The concept of the Five Depressive Patterns and its treatment from the Huangdineijing·Suwen which was considered as excess pattern was expanded to include deficiency pattern based on comparison with annotations of Wangbing, Hwashou, and Wang Andao. Treatment methods centered on purging was also expanded to include tonifying to restore the damaged Jing Qi. The depressive patterns anger depression, contemplative depression and comprehensive depression were subdivided according to excess and deficiency, for which formulas such as Shenxiangsan, Shoupijian, Guipitang were suggested. As the depressive pattern is caused by emotions and thus the Heart, the Yiqingbianqi method that directly deals with emotions was suggested. Zhang adopted Zhu Zhenheng's opinion which expands the category of Yu, and in the perspective of excess/deficiency, it is most similar to that of Li Dongyuan.
    Conclusions : Before Zhang, the depressive pattern was discussed in terms of it being excess pattern. However, Zhang's discussion on depressive pattern based on anger depression, contemplative depression and comprehensive depression focuses on emotional stagnation whil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deficient stagnation, expanding previous understanding. In terms of treatment, tonifying methods for deficiency pattern was added, while consideration of emotion itself became necessary in treat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