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수관가(沈壽官家)가 갖는 역사적 의의에 대한 재고찰: 메이지기 일본 수출도자 산업계에 나타난 ‘사쓰마현상'을 중심으로 (Re-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him Su-gwan Family : Focusing on the Satsuma Phenomenon in the Meiji Export Ceramics Indust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1.12
32P 미리보기
심수관가(沈壽官家)가 갖는 역사적 의의에 대한 재고찰: 메이지기 일본 수출도자 산업계에 나타난 ‘사쓰마현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역사연구 / 56호 / 107 ~ 138페이지
    · 저자명 : 노유니아

    초록

    가고시마의 심수관가는 임진왜란 피랍도공 중 유일하게 한국식 이름을 고수하며 대를 잇고 있다는 점으로 인해 미디어와 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그런데 논의의 대부분은 민족적 아이덴티티와 초대 심당길의 신원 검증에 집중되었고, 가문의 본질을 이루는 도자업과 작품과 관련해서는 본격적인 고찰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메이지 초기 일본수출도자 산업계의 맥락을 고려하여 심수관가의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15대가 계승하고 있는 심수관가의 기반이 구축된 것은 12대(1835-1906) 때의 일이다. 1867년 파리만국박람회에 사쓰마번이 에도막부와 독립적으로 출품한 사쓰마야키가 유럽에서 인기를 끌면서 자포니슴의 핵심 수출품으로 자리잡았고, 심수관은 사쓰마야키 수출을 통해 자포니슴의 한 축을 담당했다. 흥미로운 것은 사쓰마야키가 구미에서 인기를 끌자, 나가사키, 고베, 요코하마, 도쿄 등 수출항이 인접한 도시는 물론이고 전통적인 일본 도예의 산지인 교토나 가나자와에 이르기까지 일본 전역에서 사쓰마 스타일의 도자기를 만들어 'SATSUMA'라는 이름으로 수출하는 이른바 ’사쓰마현상‘이 일어났다는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변방 가고시마에서 시작되어 일본 전역을 포섭해나갔던 이 ‘사쓰마현상’에 주목하여, 그 현상의 중심에 있었던 12대 심수관의 역할을 분석한다. 특히 나에시로가와 도공들을 이끈 경영자이자 지도자로서의 활약상을 살펴봄으로써, 메이지기 수출도자 산업계에서 차지했던 심수관의 중심적인 위상을 확인한다. 심수관가의 역사에는 사쓰마번의 조선피랍 도공이라는 출신으로 인한 장해물이 존재했고, 오늘날의 평가에 있어서도 도래인/민족혼의 수호자와 같은 필터가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 그런가하면 도자 제작업의 위상 변화를 간과한 채 근대 이후의 예술가상(像)을 투영하기도 한다. 심수관가의 역사적 의의를 온전히 복원하기 위해서는, 한일 근현대정치사의 맥락과 근대 이후 미술의 개념 변화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Shim Su-gwan (Chin Jukan in Japanese) family in Kagoshima, Japan, which is Satsuma ware producer, has attracted attention from the media and scholars because it is the only abducted pottery maker family during the 16th century Japanese invasion of Korea which has kept their Korean last name and passed it 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owever, most of the discussions focused on the national identity and identification of the first-generation ancestor. As a result, no full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family's pottery business and works. In this paper, I will re-examin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him Su-gwan family in the context of the industry of Japanese export ceramics in the early Meiji era.
    It was during the 12th generation (1835-1906) that the fame of the family was firmly established. Satsuma ware, which the Satsuma domain exhibited at the Paris International Exposition of 1867 independently from the Edo Shogunate, gained popularity in Europe and established itself as a key export item of Japonism. Interestingly, as Satsuma ware became widely popular in Western countries, the so-called Satsuma phenomenon occurred, in which Satsuma-style pottery was made under the name &Satsuma& throughout Japan, in Kyoto and Kanazawa, the production centers of traditional Japanese ceramics, as well as in cities adjacent to export ports such as Nagasaki, Kobe, Yokohama, and Tokyo, and then exported.
    In this paper, I focus on this Satsuma phenomenon and analyze the role of the 12th Shim Su-gwan at the center of the phenomenon. In particular, I investigate his activities as a manager and leader of Satsuma producers, which have up until now been overlooked. Furthermore, I point out the double hurdle for the Shim Su-gwan family of being from Kagoshima, Japan's southernmost region, and being a descendant of foreigners. Even today, the stigma of being the descendants of Korean potters and the role as the guardian of Koreanness exert an impact on the family. Moreover, people project the image of a modern artist onto Shim Su-gwan while overlooking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ceramic production in the industry field.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him Su-gwan family, we need to consider the Korean-Japanese modern history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art since the moder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2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