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경과 그리스 고전에 보이는 폭력의 사회적 기능과 정당성 - 로마제국의 군사조직이 갖는 폭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social function and the criterion of legitimacy of violence presented in the Bible and the Greek Classic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7.08
44P 미리보기
성경과 그리스 고전에 보이는 폭력의 사회적 기능과 정당성 - 로마제국의 군사조직이 갖는 폭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대사연구 / 49호 / 175 ~ 218페이지
    · 저자명 : 최자영

    초록

    푼트는 로마의 평화(Pax Romana)가 세계에 평화를 가져왔다고 하는 주장이 제국의 폭력을 이념적으로 정당화하는 것처럼, 신약성경의 저자들이 주장하는 평화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본다. 성경에 보이는 평화는 폭력과 상반되는 것이 아니고, 또 신약에서는 ‘신의 평화’를 통해 적의 파멸을 촉구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로마 ‘제국의 평화’는 기독교의 ‘신의 평화’와 다르다. 신약에 구현된 폭력은 이른바 ‘로마의 평화(Pax Romana)’를 명분으로 한 한계 없는 정복전과 비교해볼 때 그 지향하는 이념은 물론 사회조직의 기반 자체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로마제국은 군사력을 바탕으로 정복전을 추구했으나, 성경의 평화는 힘의 사회적 조직이 아니라 오직 ‘말씀’과 민간인의 모임 ‘교회’에 의지했던 점이 그러하다.
    그런데 사랑과 용서를 지향하는 신약성경에서조차도 폭력은 수용되고, 신은 극단적인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필자는 성경에 나오는 폭력의 의미를 적절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폭력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흔히 폭력의 대안은 비폭력, 평화, 혹은 사랑과 용서로 이해되고 있으나 폭력과 비폭력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사고는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충분조건이 되지 못한다. 이 때 필자가 담론의 대상으로 하는 폭력은 생물적, 개인적 폭력이 아니라 사회적 조직에 의해 이루어지는 폭력이다.
    폭력의 정당성은 그 정도의 강약에 따른 것이 아니라 목적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바르게 인식하는 것은 자신의 권리를 침해받지 않고 지켜나가는 데 필수적이다. 그런 점에서 신약성경의 평화는 자위 혹은 자아의 정체성 보호를 위해 극단적인 폭력을 구사할 수도 있는 것으로 연결되며, 이것은 침략적 제국주의에 입각한 로마의 폭력과 다른 점이다.
    문제는 자위를 위한 정당한 폭력의 행사와 적정한 범위를 넘어선 침략적 행위의 구분은 실제상황에서 구분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엘렌스에 따르면, 심리학은 폭력이 어떻게 발생하는가를 설명할 수는 있어도 제거할 수는 없으므로, 오직 (성경) 독자들의 노력을 통해 폭력의 은유를 제거하고 건설적인 은유로 대치할 수 있다. 다만, 필자는 폭력이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것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폭력의 정도에 대해 경우에 따라 시가각각 각자의 끊임없는 반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J. Punt argued that religions are notoriously implicated in violence. He says, Christianity is often seen as a particularly good example of the close links between (organized) religion and violence. Furthermore, Punt explained the problem of violence in the New Testament under the influence of the Roman Empire. That is, the scope and nature of the Messianic peace may have been different from the Roman Pax (Peace) in certain ways, but linking peace and violence, making them twin sides of the same coin, put the Roman and New Testament authors' versions of peace on par. Rather than the antithesis of violence, peace is the basis of violence, using violence to create peace. The two are inseparable.
    However, the peace of the Roman Empire differs from Christian ‘God’ Peace'. The Roman Empire sought after a war of conquest on the basis of military power on the pretence of so called ‘Pax Romana (Peace for Rome)’, whereas the peace in the Bible was not so much grounded on a social organization of power, as the ‘God’s Word’ and the civic group of ‘church’. Thus, violence in the New Testament is differentiated from the limitless conquest in a aiming ideology as well as the foundation of social organization. Then, even in the New Testament for love and forgiveness, violence is embraced and God exerts extreme violence. Thus, it is recommended to discuss the the social function of violence.
    Often, alternatives to violence are understood as nonviolence, peace, or love and forgiveness. However, the dichotomy between violence and nonviolence is not a sufficient condition to solve the problem of reality. In my opinion, the concept of violence has to be classified into physical, biological violence and social violence, and the discourse has to be concerned with the latter rather than the former.
    On the other hand,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at the legitimacy of violence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intensity, but according to its purpose, that is, to protect one's own rights. At the same time, by establishing the right standards for the use of force and having a sense of reflection, we will be able to respect the rights of others and seek ways of coexistence without falling into languidness. In this respect, we see that the violence of the Roman Empire is in a different context from the advocacy of violence in the New Testament or the Greek classics. The peace of the Roman Empire was based on violence, and its violence headed for boundless imperialism, but the peace of the New Testament, even if exploiting extreme violence for self-defence or self-identity, basically does not alienate. exclude, or shows hostility against others. Or, I do not think that it is tyranny, exclusion, or hostility. In the Greek classics, there was also a warning against the social proliferation of violence.
    However,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between the exercise of legitimate violence for self-defence and the aggressive behavior beyond reasonable scope. Here we need to refer to individual reflection suggested by J. Harold Ellens. Ellens emphasizes that two Bibles include both tendencies, constructive and destructive. He emphasizes that psychology can explain how violence occurs, but can not eliminate it, so that through the efforts of readers alone, the metaphor of violence can be eliminated and replaced with a constructive metaphor. In my opinion, however, her concept of constructive tendency does not exclude the role of violence and it should be replaced with ‘positive’ violence.
    It is noteworthy that the Roman Empire itself took advantage of the concept of defence-war for its allies. In my opinion, however, Roman Peace (Pax Romana) or slaughter resulting from defense war has to be discriminated from the God’s peace or terrible punishment inflicted by the God, which refers to the extent of organized military power. Fundamental organization of the Christianity is the assembly of Christians, which is not necessarily military. God’s peace is based on the words of the God, wheras the peace of the Roman Empire on the weapons and the power of military system. As Tacitus reports in his <Historiae> military are raised by money, and the money provided with taxation. Organized military as the base of the latter is guaranteed by exploiting and avarice. Moreover, it actually could mor degenerate future situation as being eficient of device for reflection or restrai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