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험주의와 비개념주의: 비개념적 내용을 갖는 지각 경험은 지각적 믿음의 이유를 제공할 수 있는가? (Empiricism and Non-conceptualism: Can Perceptual Experience with Non-conceptual Content Justify Perceptual Belief?)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1.09
42P 미리보기
경험주의와 비개념주의: 비개념적 내용을 갖는 지각 경험은 지각적 믿음의 이유를 제공할 수 있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94호 / 193 ~ 234페이지
    · 저자명 : 이풍실

    초록

    본 논고는 지각 경험이 세계에 대한 지각적 믿음을 정당화해주는 이유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소위 경험주의 논제와 이에 대한 내재주의적 해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제기될 수 있는 한 핵심적인 인식론적 문제는 지각 경험의 내용이 비개념적일 경우에 어떻게 이러한 비개념적 내용을 갖는 경험이 개념적 내용을 갖는 믿음에 대한 이유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가이다. 지각 경험 내용이 전적으로 개념적이라는 개념주의자 측에서는 비개념적 지각 내용은 믿음의 이유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지각 경험 내용의 비개념성을 부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반대로 지각 경험 내용의 비개념성을 인정하는 비개념주의자 편에서는 지각 경험이 비개념적 내용을 갖더라도 이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고에서는 우선 논자들이 지각 경험 내용을 개념적이거나 비개념적이라고 주장할 때 정확하게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개괄한다. 이를 바탕으로 비개념적 지각 내용이 이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는 맥도웰의 논증을 고찰한다. 우선 비개념주의자들이 맥도웰의 논증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식의 대응책을 강구하고 있는지가 논의되고 이러한 대응이 가지는 문제점이 비판적으로 논의된다. 이를 바탕으로 맥도웰의 논증이 궁극적으로 지각 경험 내용과 지각적 믿음 사이의 이유 제공 관계를 자의적이지 않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는 핵심적인 요구조건에 의존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비개념주의자들의 논증들은 이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어떻게 비개념적 내용을 갖는 지각 경험이 믿음의 이유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적절하게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이 논증된다. 따라서 적어도 인식론적인 차원에 있어서 개념주의가 상대적으로 우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마지막으로 자의성 회피 요구조건이 함축하는 바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개념주의가 갖는 철학적 함축을 보다 넓은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이후의 과제가 무엇인지가 논의된다.

    영어초록

    Given that perceptual experience provides the reasons for perceptual beliefs and that this reason-giving 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belief is to be available to our reflective investigation,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centers around the question of whether perceptual experience with non-conceptual content can play a role of providing reasons for believing about the world. Conceptualists, who argue that the content of perception is merely conceptual, maintain that non-conceptual content cannot justify perceptual beliefs, while Non-conceptualists hold that there is non-conceptual perceptual content which plays a role of justifier. To examine this debate, the meaning of conceptual and non-conceptual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is explained. Then several non-conceptualists’ interpretations and criticisms of McDowell’s conceptualist arguments are investigated, which shows that their interpretation is somewhat misleading, and that McDowell’s arguments are all based on the condition that the reason-giving relation between perceptual experience and belief has to be immune to arbitrariness. I show that non- conceptualists’ arguments fail to fulfill this requirement. Given the importance of this non-arbitrariness requirement, we can conclude that there is a reason to prefer Conceptualism to Non-conceptualism, at least from the epistemic side. Finally, I reveal the broader implication of the non-arbitrariness constraint and Conceptu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