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형문화유산 전시에서 소스 커뮤니티가갖는 의미-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아리랑’ 사례를 중심으로- (The Meanings of Source Communities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hibition -A Focus on Special Exhibition Arirang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5.02
27P 미리보기
무형문화유산 전시에서 소스 커뮤니티가갖는 의미-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아리랑’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25권 / 425 ~ 451페이지
    · 저자명 : 조성실

    초록

    본고는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개최한 특별전시 ‘아리랑’을 통해 박물관 전시에서의 무형문화유산 재현양상과 그 특징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특별전 ‘아리랑’은 국립박물관 최초로 ‘소스 커뮤니티(source community)’라는 개념에 착안하여 기획된 전시다. 소스 커뮤니티는북미의 박물관 관계자들이 제국주의 시기부터 ‘타자’로 다루었던 원주민 공동체를 후기식민주의 이후 새롭게 조명하게 되면서 탄생한 개념이다. 소스 커뮤니티적 관점에서의 박물관 전시는 전시주체인 큐레이터(혹은 박물관)와 전시객체 즉 전시주제의 대상이 되는 특정 민족공동체와의 협업을 중요하게 여긴다. 필자는 소스 커뮤니티가 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만나는 양상과 특징을 본고에서 다루고자 했다. 이에 먼저 무형문화유산이 박물관 전시의 콘텐츠로 활용되기까지의 배경을 고찰하였고 아울러 소스 커뮤니티 개념이 국내의 박물관 전시에 어떻게적용되어 왔는가도 살펴보았다. 논문의 마지막 장에서는 아리랑 특별전시가 소스 커뮤니티를활용하여 무형문화유산을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소스 커뮤니티적 관점에서의 무형문화유산 전시는 유형문화인 유물 중심의 기 박물관 전시와 달리 이 유형의 문화유산을 전승하는 주체인 ‘사람’에 집중한다는 데에서 박물관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박물관과 소스 커뮤니티가 협업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권력구도가 생성될 가능성도 있는 등 여러 문제가 뒤따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전시기획에서는 전시대상이되는 집단 즉 소스 커뮤니티와 전시기획자 간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 서로 간의 충분한 협의가 필요하다고 보는 바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pecial exhibition ‘Arirang’, theexhibi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llaborated with sourcecommunity,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to take a look at themeaning of it. The reason I see the exhib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from the aspect of source community is related to its attribute. Unlike the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inheritors ar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component so that and they play a key role in it. Thus in the exhibition of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indispensable to collaborate with the sourcecommunity putting an emphasis on their roles. It makes clear that if peopleare excluded in the exhibiti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 living culturewould be fossilized in the museum’s exhibition room.
    I consider inheritors have a big voice and advocate strongly their situationand position through the exhibition taken part in by the inheritors of intangiblecultural heritage, named as source community, but sometimes they might havea conflict with the exhibition planners. Instead of the positive results of the exhibition collaborated with source community such as minimization of thepower and authority of curators and achievement of the democratization, it islikely to produce the new power structure. And it can also follow harmful effectthat the exhibition planners just use source community as a tool to conveyaggressively their intention for the exhibition. In the original exhibition, peoplerearrange the relics of the past as one pleases but nowadays there is underthe circumstance of exhibition collaborated with source community. So it isa natural step that this kind of problem occurTo solve the problems which could occur, in the Arirang special exhibitionthe decision of the list and method of performance were entrusted to the sourcecommunity in order to reduce mutual conflicts happening in advance. It isnecessary to negotiat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group displayed in the exhibition, source community, and the exhibitionplanners. We can find out the clue of the solution with having enough timeto understand each other by the participant observation over source community,continued interview, establishment of rapport. In the end, the success of the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hibition collaborated with source communityrelies on how well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