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자철학에서 ‘중부부’衆父父가 갖는 존재론적 ‘창진성’創進性의 문제 (The problem of ontological ‘change-creating-process’創進性 in the philosophical system of CHANG-TZU)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09
32P 미리보기
장자철학에서 ‘중부부’衆父父가 갖는 존재론적 ‘창진성’創進性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89호 / 5 ~ 36페이지
    · 저자명 : 윤천근

    초록

    장자의 존재론은 이중의 켜를 갖고 있다. ‘나의 존재성’과 ‘세계의 존재성’의 중첩된 구조이다. 그것은 장자에 있어서 존재란 ‘나라는 존재성’으로 드러나기도 하면서 ‘세계 전체의 존재성’으로 구현되기도 하는 것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나라는 존재성’은 ‘나’ 만으로 드러날 수 없다. ‘세계 전체의 존재성’은 ‘나’를 제외하고 그 자체의 모습을 구현할 수 없다. ‘나’와 ‘세계’는 그렇게 서로 뒤엉켜 있는 것이다. ‘이미’ 뒤엉켜 있는 전체로서의 세계는 하나하나의 모든 ‘나’의 총합으로 그 자신의 존재성을 확보한다. 세계-내-존재로서의 존재성이 ‘세계 전체’의 존재성이면서 동시에 ‘나’의 존재성이라는 본질을 받아들이는 것이 장자 인식론의 목표이고, 구분된 ‘내’가 그런 본질적 존재성에 ‘속’하여 자연히 그 세계 내적 본질을 구현하여 내게 되도록 하는 것이 장자 존재론의 본질이다. 나는 장자철학을 존재론적 차원에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철학’적 입장을 바탕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므로, 장자가 근원적 세계의 기운과 이미 연관되어 있는 ‘신’神, ‘신기’神氣가 ‘나’와 ‘세계’ 속에서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하는 것을 통하여 총체적 자연세계의 조화력이 어떤 제약도 받지 않고 작용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한다고 본다. 이것이 바로 ‘중부부’의 존재성이 움직이는 영역이다. ‘자아의 존재성’은 그 자신의 ‘이해’를 통하여 존재세계와 연관된다. ‘중부의 존재성’은 ‘그 자신의 총명과 지혜를 통해 만들어 가진 그 자신의 관점과 가치’를 내세워 존재세계와 연관된다. ‘중부’의 존재성이 갖는 문제는 ‘유족유조’에 있다. ‘중부부’는 ‘개별’이 무화되는 지점, ‘부분’이 전체 속에 자연히 놓이는 지점, 전체의 연관된 존재성이 저절로 구현되는 지점이다. ‘중부부’, ‘모든 아비의 아비’는 근원적 조화력이다. 총체적 세계 자체’나 그것에 ‘연관되어 있는 모든 유ㆍ무형의 것’들은 그런 총체적 ‘연관’ 속에서 ‘중부부’의 성격을 확보하고, 근원적 조화력을 행사하는 조물자의 지위를 부여받는다. ‘중부부’가 어떤 한 대상적 존재나, 어떤 한 특별한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면, 장자의 세계는 지배와 종속의 획일성이 장악하여 버릴 것이다. 그러나 장자철학에서 ‘중부부’의 세계, 근원적 지배력을 갖는 자연세상의 존재론적 구조는 하나하나의 ‘기’의 복잡한 연계로 구축되는 것이다. 그런데 ‘총체세계’의 무수한 ‘기’들 사이에서 가설되는 무수한 연관은 출렁거리는 파도자락 속에 포함되어 있는 무수한 부유물들과 같이, 그 출렁거림 속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변화를 무한하게 드러내게 마련이다. 총체적 세계 속에서 일어나는 이런 모든 변화들은 이 ‘세계 내적 연관구조’ 자체를 끊임없이 흔들어 놓고, 그런 모든 크고 작은 ‘흔들림’은 그대로 세계 전체의 구석구석에서 여러 다양한 양상들을 변화시켜 나가는 작용력으로 기능한다. 바로 이것, ‘총체세계의 연관된 망’의 ‘근원적 흔들림 자체’, 이것이야말로 장자철학의 세계 속에 놓여지는 ‘조화력’이다. 세계 속에서 변화를 일으키는 모든 종류의 조화력은 총체적-세계내적-연관을 이미 이루고 있는 하나하나의 모든 기의 시공간적 연계구조로부터 온다. 세계 내의 모든 것은, 어떤 ‘구체적 존재’로부터 ‘하나의 기’에 이르기까지, 이 연계구조 속에서 총체적 세계의 모든 방향으로부터 주어지는 모든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그 존재성이 탄력적으로 변모하여 나가게 된다. 이것을 장자적 세계에서 이야기할 수 있는 창조력이라 하겠는데, 여기서는 ‘중부부’라는 이름으로 지칭된다. ‘창조’라 한다면 권능을 갖는 창조주에 의한 ‘새로 만들음’의 의미가 강하므로, 나는 여기에서 ‘창진’創進이라는 말을 쓰고자 한다. 이것은 우리말로 ‘만들며 나아간다’, 또는 ‘만들어 나아간다’라는 장기적, 지속적 변화의 의미로 이해하여 주기 바란다.

    영어초록

    The theory of ontology in CHANG-TZU’s philosophical system have the dual structure. The nested structure of ‘my existence’ and ‘the existence of the world’. It means that the one exist in ‘the presence of one’s own’ and also exist in ‘the presence of all over the world’, simultaneously. ‘The presence of one’s own’ can not be revealed in the realm of his own existence. ‘The presence of all over the world’ can not embody any image of it, if there is not exist any one else. ‘The one’ and ‘The world’ are mixed into each other. The whole world in mixed of everything have to secure the existence of itself through the sum of all ‘me’. To let receptaculum that the existence ‘EXIST-IN-WORLD’ is a existence of ‘ the whole world’ also ‘the one-me’ is the aim of the theory of knowledge in CHANG-TZU, and then, ‘the one-me’ leads up to ‘in’ such fundamental areas of the ways of being and made to realize the true nature of ‘EXIST-IN-WORLD’ is the aim of the theory of ontology in CHANG-TZU. I think that we a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TZU’s philosophical system in ontological point, we must basis on ‘KEE-system’, therefore, the ‘XIN’ or “XIN-KEE’ is mean as an element that one can communicate naturally with one’s inner foundation of existence, and then, a natural ‘harmonic forcing’ of the world can interact in one’s ‘inside and outside’ realm without any restriction works. This is a territory of ‘father’s father of all’. The ‘father’s father of all’ is fundamental power or harmonic forcing of all. In the philosophical system of CHANG-TZU the world of ‘father’s father of all’ is a complex and diverse structure equipped with a infinite connection of one-and-one’s ‘KEE’. The network of ‘one-and-one’s’ ‘KEE’ associated in the total world are slight shaking like constantly, and numerous movements were give effects to each other, that is fundamental power or harmonic forcing of all, and that is ‘father’s father of all’, in CHANG-TZU’s philosophical system. If wee call it as simply ‘creating’, we have strong feeling of dominance and subordination, really. Therefore it is more good to call it as ‘change-creating-process’, that is ‘spread out by change and change’ while fixed each other together constantly. In these process, there is no special agents of change. If there are any agents, that is the entire natural world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