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도에서 기(氣)가 갖는 함의 -현상학적 몸 자신(proper body)의 관점에서- (Implications having Ki(氣) in Martial Arts -On viewing from phenomenological proper body-)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5.03
21P 미리보기
무도에서 기(氣)가 갖는 함의 -현상학적 몸 자신(proper body)의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3권 / 1호 / 63 ~ 83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호

    초록

    본 연구는 현상학적인 몸의 관점에서 무도의 기를 작동시키는 몸의 조건은 무엇이고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논의이다. 기의 세계와 해석이 어떤 대상에 대한 각자의 몸의 체험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무도에서 기의 범주를 명확하게 설정하기는 어렵겠지만, 무도의 기는 몸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기가 일어나는 토대는 단순히 객관적인 몸이 아니라, 살아있는 몸(lived body)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살아있는 몸과 관련된 철학적 해석은 현상학적인 몸 자신(proper body)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몸 자신은 수동적 대상뿐만 아니라, 능동적인 무언가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이러한 해석은 기를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많은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특히 몸 틀과 몸의 지향궁으로 이루어진 몸 자신의 구조적 특성은 기의 작용과 역할을 서구적인 개념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몸 틀은 왜 무도에서 끊임없는 수행의 반복이 필요한지 근원적인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그리고 지향궁의 의미는 몸 자신이 단순히 몸의 반응을 넘어 하나의 운동지향성을 통해 주체적인 능력을 만들어 가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는 몸 자신이 인격완성의 힘을 갖는 원천임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몸 자신은 무도의 기를 이해하는 전제이며, 몸 자신이 인격적 주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실체이다. 따라서 몸 자신의 특성과 구조의 이해는 무도에서 기의 작용과 역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what conditions and roles of body are in originating Ki(氣)of martial arts on the standpoint of phenomenological body. It is difficult to exactly establish the categories and meanings of Ki(氣) in martial arts. Because translation and world of Ki(氣) happens in respective body’s experience to object and body itself. But there is undeniable that it happens to be related with bod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foundation of Ki(氣) bases on not objective body(Körper) but lived body(Leid). Philosophical translation related the lived body needs to be understood the meanings of phenomenological body. And it concretely premises the proper body. The proper body has both the passive role to receive something from object and positive role to show its potential capacity to object. Theses translations may provide the theoretical ground in grasping of Ki(氣) in martial arts. Especially the features of proper body consisting as the schema of body and the intentional arc make it possible to explain the operation and role of Ki(氣) as Western concept. The schema of body originally provides theoretical bases why endless practice needs in cultivation of martial arts. And the intentional arc shows not a simple response of body to object but itself leading capability to make the power of body through the intentionality of movement. This discloses the meanings as sources having the power of completion of character. On conclusion, the proper body is a prerequisite to understand the Ki(氣) and a substance to take a personal role. So, understanding of structural features of the proper body provides a theoretical base easily to come up to operation and role of Ki(氣) in martial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