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그리스 철학 고전이 갖는 현대적 의미 (The Meaning of Greek Philosophical Class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9.09
22P 미리보기
고대 그리스 철학 고전이 갖는 현대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90권 / 1 ~ 22페이지
    · 저자명 : 김귀룡

    초록

    고전은 시대정신과의 연관 속에서 읽어 봐야 한다. 비판과 해체로 특징지을 수 있는 현대는 고전을 비판적으로 극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성향은 현대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고 서양의 철학사는 언제나 고전철학을 비판적으로 극복하고자 해왔다. 후대의 무자비한 비판에도 불구하고그리스의 철학 고전은 아직도 살아남아 있다. 고전의 생명력은 잡초와 같아서 아무리 밟아도 끊임없이 되살아난다.
    철학적 고전의 생명력에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긍정적인 측면은 고대 그리스 철학의 이상이라고 할 수 있는 이론적 인간형에서 찾을 수 있고, 부정적인 측면은 고전이 딛고 견뎌낸 고난과 역경가운데서 찾을 수 있다.
    이론적 인간은 세속적 가치를 지향하지 않고 이상적인 목표를 추구한다. 그에 따라 철학자는 세속적 성공을 추구하지 않고 세속적인 가치와는 동떨어진 학자가 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고대의 철학자들은 이론적 인간을 이상적 인간형으로 제시하면서 그들의 사유 내용뿐만 아니라 이후의철학자들이 스스로의 사유를 전개하기 위해 전제해야만 하는 사유의 틀까지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서 후대의 비판자들이 적어도 서구적 사유의 틀을 따르고 있는 한 그들은 고대의 철학자들이 마련해 놓은사유의 틀을 전제해야만 했고 그래서 후대의 비판이 격렬하면 할수록 그리스의 철학적 고전이 빛을 발하는 현상이 이어진다.
    서양의 고전적 전통은 고대 그리스의 시적이고 신화적인 전통과의 갈등과 추장 가운데서 형성된다. 시적이고 신화적인 전통에서는 새로이 형성되어가는 철학적 사유가 과거 전통을 파괴할 위험에 대해 경고한다. 이둘 사이의 갈등은 그리스 비극에서 그 정점에 달한다. 그리스 비극은 철학적 사유의 미래가 궁극적으로는 파국적 결말에 이를 것임을 경고하고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와 같은 경고를 주의 깊게 듣고 난후 이론적 인간형을 제시한다. 즉 그들의 사유는 비극적 사유의 비판을극복하고자 제시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후대의 비판자들이 비극 작품에서 제시하는 비판의 강도를 넘어서는 비판을 제시하지 않는 한 그들은그리스 철학 고전을 넘어서기 어렵다.
    이런 비판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현대의 비판 철학자들이 그리스고전을 극복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데리다의 비판은 파르메니데스나 헤라클레이토스가 설정해 놓은 사유의 한계 정도는 넘어서 있다고 본다. 그렇지만 그가 그 이전의 철학적 전통을 넘어서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영어초록

    Classics should be read with respect to the spirit of the times. The present age, regarded as the age of critics, deconstruction, tries to overcome classics critically. Besides the present age, the western history of philosophy has made a constant attempt to critically overcome the classical philosophy. In spite of the severe critics of later ages, the Greek philosophical classics has still survived.
    We can find positive and negative(passive) aspects in the survival power of philosophical classics. While the positive side of the life power of classics lies in the spirit of theoretical man, the ideal of ancient Greek philosophy, we can find the negative one in the sufferings and hardships which the philosophical classics should bear.
    The theoretical man does not aim at secular value but ideal one.
    Therefore philosophers who do not want to win a secular success but be a scholar indifferent to secular value, will be a successor of the classics. Furthermore when ancient Greek philosophers offered theoretical man as an ideal man, they not only concern about the contents of thought but also the frame of thought presupposed by all thought. Therefore the later age critics, so long as they use western way of thought, have to presuppose the frame of thought which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offered. In this way, the positive aspect of life force of Greek classics have exercised their influence over the history of philosophy.
    Western classical tradition took shape in the midst of the conflict and struggle against the past mythic-poetic tradition. The mythic-poetic tradition had always given the newly formed classical tradition warning of its danger to destroy the traditional spirit. The war between the two parties of Greek tradition came to a head in Greek tragedy. The Greek tragedy, regarded as the peak of this warning, predicted the future of philosophical tradition that it would be faced with catastrophic result eventually. Carefully listening to this warning, Plato and Aristotle offered their theoretical spirit. Therefore, unless later age critics offer the strong criticism beyond the intensity of the criticism of Greek tragedy, they cannot get over the Greek classical tradition.
    Does the present age which tries to overcome the limit of this criticism get over the Greek classical tradition? I think that Derrida's criticism get over the limit of thought which Parmenides and Heracleitos established. I, however, am not certain that he overcome the pre-Parmenidean-Heraclitean philosophical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