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10년대 한국근대소설이 보여준 사회진화론과 근대 극복의지의 한 양상, 양건식의 사상과 문학세계(1) -「西哲康德格致學說」을 중심으로- (Social Darwinism & one aspect of modern subjugation intent shown by Korean modern novel in 1910s', Thought and literary world of Yang Geon Sik(1) -Mainly on the basis of 「Seocheolgangdeokgyeokchi Theo)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6.08
38P 미리보기
1910년대 한국근대소설이 보여준 사회진화론과 근대 극복의지의 한 양상, 양건식의 사상과 문학세계(1) -「西哲康德格致學說」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42호 / 119 ~ 156페이지
    · 저자명 : 유봉희

    초록

    이 연구는 2회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 하나는 양건식(梁建植, 1889~1944)이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철학사상을 번역한 「西哲康德格致學說」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적 배경과 사회진화론(Social Darwinism, 社會進化論) 극복의 의지를 확인하고(1), 다음으로는 이것을 토대로 양건식의 작품세계를 분석하는 것이다.(2) 이것은 서구가 던져준 ‘폭력적 근대’에 대항하는 ‘근대극복’의 의지까지 담고 있는 ‘가치의 재발견’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 첫 시도로 「西哲康德格致學說」을 중심으로 양건식의 사상적 배경을 살피고자 한다. 여기서 유식불교(唯識佛敎) 등 동아시아 전통사상에 대한 재발견과 이를 통한 서구사상에 대한 응전 등 당대 양건식의 사상적 고투를 확인할 것이다. 아울러 서양의 칸트철학 수용과정의 ‘선택적 전유(selective appropriation)’ 양상과 불교옹호론자로서의 양건식과 그와 사상적 영향관계에 있는 중국의 량치차오(梁啓超, 1873~1929)의 자유사상과 조선의 한용운(韓龍雲, 1879~1944)의 불교정신을 규명하는 작업이 함께 따를 터다. 이것을 통해 량치차오․한용운․양건식의 사상적 동일성과 차별성을 분석, 양건식의 사상적 위치를 재확인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양건식의 「西哲康德格致學說」에 주목하는 것은 그가 작가로서 세상에 이름을 알린 직후(1915)부터 생을 마감하는 날(1944. 2.7)까지 불교도․불교연구자로서의 삶을 포기하지 않은 것은 물론, 1910년대 한국에서 칸트철학 수용의 한 단면과 불교를 통한 칸트철학의 재해석을 적실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아울러 ‘진화’와 ‘진보’ 즉 ‘진화=진보’가 보편의 법칙으로 자리했던 1910년대를 관통한 그의 삶에서 오히려 이것을 극복하려는 사고의 조각들을 마주할 수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불교를 바탕으로 한 동아시아 전통사상과 서양사상을 습합(習合)함으로 ‘힘의 논리’를 앞세운 사회진화론을 극복하고자 했던 양건식의 사상과 문학은 근대를 재음미하는 지금 우리에게도 하나의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양건식처럼 시종일관 사회진화론과 맞대결한 인물은 드물었던 것이다. 단순한 진화와 진보의 신화를 벗어난 이 깊은 근대극복의 정신은 어디에서 비롯한 것인가? 이 논문은 여기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be carried on in 2 times. One is to confirm the thinking background and Social Darwinism, subjugation intent of Immanuel Kant (1724-1804) mainly on the basis of 「Seocheolgangdeokgyeokchi Theory」, the translation of Kant philosophical thought translated by Yang Geon Sik (1889-1944)(1) and the other is to analyze the works of Yang Geon Sik on the basis of such confirmation(2). This also means the ‘rediscovery of value’ which also includes the intent of modern subjugation that resists against ‘violent modernism’ cast by the West. As the 1st attempt, I intend to investigate the thinking background of Yang Geon Sik on the basis of 「Seocheolgangdeokgyeokchi Theory」. Here, I will rediscover traditional thought of East Asia such as consciousness only school, etc and confirm the thinking struggle of Yang Geon Sik in the age such as response against the Occidental thought through it. Further, I will also look into selective appropriation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Kant's philosophy in the West, freedom thought of Yang Geon Sik as advocate of aspect and Buddhism as well as Lyang Chi Chao(1873-1929) who was in the relation of thinking influence with him and the Buddhist spirit of Han Yong Woon (1879-1944) of Joseon. Through them, I will analyze the thinking uniformity and discrimination of Lyang Chi Chao, Han Yong Woon and Yang Geon Sik in order to reconfirm thinking position of Yang Geon Sik. Above all, Yang Geon Sik's 「Seocheolgangdeokgyeokchi Theory」 is notable in the judgment that he did not waive his life as a Buddhist and researcher of Buddhism immediately after he became famous as an author (1915) to the day he deceased (1944. 2.7) as well as he exactly showed reinterpretation of Kant philosophy through a cross section of accommodating Kant philosophy and Buddhism in Korea in 1910s'. Another reason is that his life penetrating 1910s' when ‘evolution’ and ‘progress’ namely, ‘evolution= progress’ was fixed as the law of universality showed the pieces of thought which tried to overcome such law. In this aspect, it is expected that the thought and literature of Yang Geon Sik which tried to overcome Social Darwinism that preferentially presents ‘logic of power’ by combining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based on Buddhism and Occidental thought would be a good example for us as we peruse modern time again. Persons like Yang Geon Sik who consistently confronted with Social Darwinism were rare. What is the origin of this deep spirit of modern subjugation which deviates from simple evolution and myth of progress? This dissertation inevitably starts from this 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