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델 마이너리티 신화’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 에토 준(江藤淳)의 1960년대 미국 체험기에서 드러나는 성취지향과 인종 문제 인식을 통해 (The Birth of the Model Minority Myth : Focusing on Achievement Orientation and Racial Perception Emerging from Jun Etō's 1960s American Experien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4.06
30P 미리보기
‘모델 마이너리티 신화’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 에토 준(江藤淳)의 1960년대 미국 체험기에서 드러나는 성취지향과 인종 문제 인식을 통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207호 / 199 ~ 228페이지
    · 저자명 : 노슬기

    초록

    2020년 5월,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위조지폐 사용 의혹을 받은 흑인 조지 플로이드를 백인 경찰 데릭 쇼빈이 강경 진압하여 질식사시킨 사건이 발생한다. 이 여파로 미국 사회의 인종 갈등이 극에 달했을 뿐만 아니라 아시아계 미국인들에게는 ‘모델 마이너리티’라는 신화에 편승하여 백인에 준하는 특권을 누리며 인종차별을 외면해 왔다는 비판이 겨누어졌다. 차별과 박해를 이겨내고 근면함과 성실함으로 미국 사회에 성공적으로 동화한 일본계 미국인에 대한 찬사로 1960년대 중반 처음 탄생한 ‘모델 마이너리티’ 표상은 미국의 동아시아 헤게모니 전략을 배경에 두고 있었으며, 타 인종에 대한 차별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이용되어 오기도 했다. 그러나 모델 마이너리티가 신화화하기까지는 모범 소수자들의 공조 또한 없었다 하기 어렵다. 1962년 8월부터 1964년 8월까지 미국 프린스턴 대학에서 체류한 문예평론가 에토 준이 남긴 미국 체험기에서는, 이러한 모델 마이너리티 신화의 탄생 메커니즘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다. 사회진화론에 기반한 그의 자유 경쟁 논리의 수용과 성공지향적 면모는 인종 표상이 정치화하는 과정에 당사자들이 어떻게 무의식적으로 가담하게 되는지, 이러한 가담이 방관자적 인종주의의 형태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In May 2020, George Floyd, a Black man suspected of using counterfeit money in Minneapolis, Minnesota, USA, was choked to death by the White police officer Derek Chauvin. This incident exacerbated the Black-White divide in American society and led to criticism of Asian Americans for benefiting from the “model minority myth,” enjoying privileges similar to those of White people, and turning a blind eye to racism. Coined in the mid-1960s to honor Japanese Americans who overcame discrimination and successfully assimilated into American society through hard work and integrity, the model minority narrative was framed against the backdrop of U.S. hegemonic strategies in East Asia and used to justify cultural racism against other races. The mythologizing of the model minority, however, also involved the complicity of the model minority itself. The experience of the Japanese literary critic Jun Etō, who spent 1962-1964 at Princeton University, provides a clue to the birth mechanism of the model minority myth. His acceptance of the logic of free competition based on Social Darwinism shows how the model minority unwittingly became complicit in the politicization of racial representation, resulting in bystander rac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