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후반 朝鮮과 中國 지식인의 국제적 經學 論爭 탐구 – 『大學講語』에 나타난 經學 論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cholars’ International Dispute of Confucian Classics of Korea and China in the latter of the 19th century – Focusing on the Dispute of Confucian Classics appearing in 『Deahakgangeo』)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7.06
31P 미리보기
16세기 후반 朝鮮과 中國 지식인의 국제적 經學 論爭 탐구 – 『大學講語』에 나타난 經學 論爭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88호 / 253 ~ 283페이지
    · 저자명 : 이형성

    초록

    조선은 성리학을 이념으로 하여 사회와 문화의 모든 분야에 뿌리내리도록 하였다. 많은 학자들은 유교 경전이 성리학의 관점에서 정착하도록 노력하였다. 학자들의 노력은 성리학이 철학적으로 심화되면서 타학문이 수용되지 않는 경향으로 나아갔다. 16세기 초 왕수인(王守仁)의 학문이 전래되었으나, 이황(李滉)의 비판으로 그 학문은 수용되지 못하였다.
    임진왜란 때 구원병을 이끌고 온 중국 명나라 장수 송응창(宋應昌)이 조선의 학자들과 도학(道學)을 강론하고자 하였다. 조선은 당시 황신(黃愼)⋅유몽인(柳夢寅⋅이정구(李廷龜) 등을 파견하여 강론하도록 하였다. 두 나라의 지식인들은 주희의 『대학장구』를 서로 다른 학문적 관점에서 강론하였다. 이들이 강론한 기간은 7개월 정도인데, 당시의 자료가 『대학강어(大學講語)』이다. 송응창은 국난 중에 도학을 강론한다는 명분으로 『대학』을 양명학의 관점에서 논하며 학문의 다양성을 획책하였다. 하지만 조선의 지식인은 주자학의 관점에서 도학을 내세우며 『대학장구』 체제를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16세기 조선과 중국 지식인이 경학(經學)에 대한 국제적 논쟁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과 중국 지식인의 국제적 경학 논쟁에 대한 연구는 조선의 성리학적 계승과 철학적 변화 양상을 살펴볼 뿐만 아니라, 16세기 성리학과 경학에 대한 올바른 관점과 시각, 그리고 균형적 연구 토대를 마련하도록 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Neo-Confucian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its succession in the Joseon Dynasty demonstrated in the international debate among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over Confucian classics study unfolded in the 16th century.
    There was a nationwide movement in Joseon to make sure that Neo-Confucianism would take firm root across the society and culture. Scholars who studied Confucian classics until 15th to mid-16th century made efforts to introduce and spread Confucian classics from a Neo-Confucianism perspective. Such efforts, as Neo-Confucianism evolved philosophically, led to a tendency of excluding other offshoots of studies. This explains why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was not accepted in the 16th centur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called the Imjin War, intellectuals from each Joseon and China preached Zhu Xi’s Daehakjanggu from different academic points of view. This fueled interests in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Chinese intellectuals at that time include Song Yingchang (philosopher of Wang Yangming and general); Korean intellectuals include Hwang Shin, You Mongin, and Lee Junggu. They were engaged in this preach for almost seven months, which left a book titled Daehakkangeo. Song facilitated academic diversity by discussing Daehak based on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justifying his move by mentioning that he intended to teach the philosophies of Chu Tzu amid national crisis. On the other hand, Joseon’s intellectuals advocated the philosophies of Chu Tzu from Chu Tzu’s perspective, and by doing so, they cemented grounds for Daehakjanggu.
    This international debate over Confucian classics study among intellectuals from Joseon and China is expected to be useful not only in tracing back to Neo-Confucian succession and philosophical transitions in the Joseon Dynasty, but also contributing to proper perspective, viewpoint, and balanced study of 16th century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 classic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