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견관절 수술 후 통증에 대한 관절강내 자가 통증조절과 간헐적 사각근간 상완신경총 차단의 비교 (Intermittent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vs. Continuous Intraarticular Infusion for the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ain after Shoulder Surgery)

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8.07
5P 미리보기
견관절 수술 후 통증에 대한 관절강내 자가 통증조절과 간헐적 사각근간 상완신경총 차단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마취통증의학회
    · 수록지 정보 :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3권 / 3호 / 162 ~ 166페이지
    · 저자명 : 최우종

    초록

    Background: Severe postoperative pain is a well-known problem
    following shoulder surgery. This study evaluates the clinical
    efficacy of intermittent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ISBPB)
    compared with that of continuous intraarticular infusion (IAPCA) for
    the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ain after shoulder surgery.
    Methods: Fifty seven patients, scheduled for shoulder surgery
    during general anesthesia,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wo
    groups. Group ISBPB (n = 19) received a preoperative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using 20 ml of 0.5% bupivacaine
    followed by insertion of a 20-gauge polyamide catheter. This
    catheter was connected to 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ump set
    immediately after surgery to administer a bolus of 0.75% ropivacaine
    15 ml at lockout time intervals 8 hours. Group IAPCA (n = 38)
    received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with 0.2% ropivacaine 100 ml
    (basal rate 2 ml/hr, bolus 0.5 ml, lockout time 15 min). Both groups
    received intravascular patient-controlled analgesia with fentanyl 10−
    15 μg/ml (basal rate 1 ml/hr, bolus 2 ml, lockout time 15 min). All
    patients were given pethidine 25 or 50 mg when visual analogue
    score (VAS) > 40 mm. VAS, circulatory and respiratory stress
    parameter (heart rate, noninvasive blood pressure and respiratory
    rate) and consumption of pethidine were measured during 72 hours
    following surgery at intervals of 8 hours.
    Results: The mean VAS scores in the ISBPB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IAPCA group for 72 hr after surgery
    (P < 0.01). Pethidine consumption in the ISBPB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IAPCA group (P < 0.01).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intermittent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is an effective method of postoperative analgesia after
    major shoulder surgery.

    영어초록

    Background: Severe postoperative pain is a well-known problem
    following shoulder surgery. This study evaluates the clinical
    efficacy of intermittent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ISBPB)
    compared with that of continuous intraarticular infusion (IAPCA) for
    the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ain after shoulder surgery.
    Methods: Fifty seven patients, scheduled for shoulder surgery
    during general anesthesia,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wo
    groups. Group ISBPB (n = 19) received a preoperative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using 20 ml of 0.5% bupivacaine
    followed by insertion of a 20-gauge polyamide catheter. This
    catheter was connected to 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ump set
    immediately after surgery to administer a bolus of 0.75% ropivacaine
    15 ml at lockout time intervals 8 hours. Group IAPCA (n = 38)
    received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with 0.2% ropivacaine 100 ml
    (basal rate 2 ml/hr, bolus 0.5 ml, lockout time 15 min). Both groups
    received intravascular patient-controlled analgesia with fentanyl 10−
    15 μg/ml (basal rate 1 ml/hr, bolus 2 ml, lockout time 15 min). All
    patients were given pethidine 25 or 50 mg when visual analogue
    score (VAS) > 40 mm. VAS, circulatory and respiratory stress
    parameter (heart rate, noninvasive blood pressure and respiratory
    rate) and consumption of pethidine were measured during 72 hours
    following surgery at intervals of 8 hours.
    Results: The mean VAS scores in the ISBPB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IAPCA group for 72 hr after surgery
    (P < 0.01). Pethidine consumption in the ISBPB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IAPCA group (P < 0.01).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intermittent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is an effective method of postoperative analgesia after
    major shoulder surge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nesthesia and Pain Medicin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