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상의 연작시 <그리스도 폴의 江>에 나타난 시간의 의미 연구-폴 리쾨르의 아우구스티누스 시간 이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Time in Ku Sang’s poetry The River of Christ Paul —Focusing on Paul Ricoeur's understanding of Augustinian tim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9.06
24P 미리보기
구상의 연작시 &lt;그리스도 폴의 江&gt;에 나타난 시간의 의미 연구-폴 리쾨르의 아우구스티누스 시간 이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187호 / 333 ~ 356페이지
    · 저자명 : 김봉근

    초록

    구상의 연작시 <그리스도 폴의 강>은 ‘강’ 그 자체에 깊이 몰입하고자 하는 시인의 간절한 의지의 소산물이다. 구상은 이 연작시의 초입에서 ‘강’이라고 하는 사물 그 자체에 조심스럽게 다가간다. 그는 강의 풍경을 묘사하지 않고, 섣불리 자신의 감정을 이입시키지도 않는다. 그보다 강이라고 불리는 사물 그 자체에 몰입한다. 이를 통하여 그는 처음으로 강의 모습이 촉발시키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시간 이미지 그 자체를 발견해낸다. <그리스도 폴의 강> 연작 11, 14, 16번은 이러한 시간의 이미지를 잘 표현해내고 있다. 리쾨르는 『시간과 이야기』 1장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 11장 시간의 철학에서 시간에 대한 회의주의적 입장과 실재론적 입장의 양가론적 견해가 시간과 영원성 사이의 변증법으로 승화될 수 있음을 말한다. 구상의 이 연작시 전반부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은 단순히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일차원적 시간을 넘어서서 그 시간성과 영원성 사이의 변증법적 양상이라 할 수 있다.
    구상은 이 연작시 전반부에서 시간 속에 담긴 죽음의 이미지들, 곧 리쾨르가 ‘유한자의 슬픔’이라 불렀던 해체, 고통, 추방, 밤의 이미지로서 강의 모습을 구체화하지만, 계속해서 연작시를 써 나가면서 리쾨르가 언급한 ‘다시 모음, 살아 있는 충만함, 안락함, 빛의 비유들’과 같은 것들을 사용하여 강이 담지하고 있는 영원성의 상징체계를 받아들이며, ‘유한자의 슬픔’을 ‘절대자에 대한 찬양’과 짝을 이뤄나가게 한다.
    이 독특한 시간과 영원성 사이의 변증법적 경험은 시인으로 하여금 매일 “예배(禮拜)를 보듯” 강에 나아가게 한다. <그리스도 폴의 강> 연작 49, 61, 63번에 등장하는 강 앞에서의 ‘예배’는 이 연작시에서 시인이 강에 ‘관입실재’하는 경험을 통해 그 자신이 존재론적으로 새롭게 태어나는 거듭남의 징표로서 세례를 경험하였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이 연작시 49번 이후로 연작시 후반부에서 죽음의 이미지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로써 구상은 강의 모습을 통하여 시간적 차원에서 존재론적 전회를 경험하였을 뿐 아니라, 유한자의 슬픔으로부터 구원의 경험을 시적으로 형상화 시키는 데 성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Ku Sang’s poetry, The River of Christ Paul, is a product of the poet's willingness to deeply immerse himself in the ‘river’ itself. The opus carefully approaches the concept called the ‘river’ at the beginning of this time period. He does not simply portray the landscape of the river, nor does he introduce his own feelings. Rather, he immerses himself in things called “rivers.” The first thing he found through this is the imag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ime that the river forms. No. 11, 14, and 16 of The River of Christ Paul express this image of time distinctly from the image of the river. Ricoeur says that the dualistic view of skeptical and realist positions in time is channelled into a conflict between time and eternity in the philosophy of time, in Augustine's book of Confessions Chapter 11, and Ricoeur’s Time and narrative Chapter 1. What appears in Ku Sang's first half of this poem is a dialectical facet between time and eternity, not merely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the first half of this chronology, Ku Sang finds images of death in time, similar to Ricoeur's image of dismantling, suffering, deportation, and nightfall, which he calls "the sorrow of the finite." As he continues to write his poem, he adopts a contradictory symbolic system of eternity using such things as "vowels, living fulness, comfort, light parables" mentioned by Ricoeur. It is a poetic form of the river that paired the “sorrow of the finite person” and the “praise of the absolute person.” However, the dialectic experience between this unique time and eternity leads the poet to the river every day, as if to "worship." "Worship," appearing in Chapters 49, 61, and 63 of The River of Christ Paul, is an attempt to "baptize" as a token of new birth. In fact, the image of death is rarely seen in the latter half of the poem, after the 49th. Thus, Ku Sang not only experienced his ontological resurrection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river but also succeeded in poetically shaping the experience of salvation from the sorrow of the fini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