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石川文康의 ‘양심중립설’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이시까와의 칸트적 사고법 비약과 착오 - (A Critical Review on the Neutral Theory of Conscience of the F. Ishkakwa - A Jump of Logic and Mistake Form the Thinking of Kantian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7.01
21P 미리보기
石川文康의 ‘양심중립설’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이시까와의 칸트적 사고법 비약과 착오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87권 / 1호 / 83 ~ 103페이지
    · 저자명 : 권이선

    초록

    한자어 ‘良心’을 뜻으로 풀어쓰면, 좋을 양(良)과 마음 심(心), 즉 ‘좋은 마음’이다. 따라서 이것은 그 의미상 분명히 긍정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동양사상에서 ‘良心’이라는 단어가 이런 의미를 지니고 있다면, 이 용어가 가령 독일어 게비쎈(Gewissen)의 번역어로서 적절한지가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 게비쎈은 라틴어의 콘시엔치아(conscientia)와 그리스어의 쉰에이데시스(συνείδησις)를 번역한 것이다. 이 단어들은 ‘(~와) 함께’라는 ‘con-’, ‘συν-’어미와 ‘안다(知)’라는 뜻을 가진 단어와 결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이 단어들을 축자적(逐字的)으로 번역하면 ‘(~와) 함께 안다=공지(共知)’가 된다.
    그런데 우리가 이들 단어들을 번역할 때 이들 단어들에게 일정 가치를 부여하여, 예를 들어 ‘선한 良心’, ‘좋은 良心’ 등과 같이 사용할 경우에는 동어반복이 된다. 또한 반대로 ‘악한 良心(=악한 좋은 마음)’, ‘더러운 良心(=더러운 좋은 마음)’ 등과 같이 사용하면 모순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의구심 풀고자 이시까와는 '양심중립설'을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시까와의 '양심중립설'을 논해보려고 한다.(II). 다음으로 이시까와의 '양심중립설'의 전거는 무엇인지를 고찰한 후에(III), 마지막으로 '양심중립설'에 관해 비판적으로 고찰해보려고 한다(IV). 그리하여 인간 내부법정의 의식으로서 양심, 특히 재판관은 중립이 아니라, ‘선’의 입장에 분명히 위치하고, 따라서 동양사상의 ‘良心’을 서구언어의 번역어로 사용하는 것이 동어반복이나 모순이 아님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일단 양심의 특수성(예를 들어, ‘이중의 자기’, ‘자기 내 타자’)보다는 양심의 중립성에 대해서 집중하려고 한다.

    영어초록

    The literal translation of the Chinese term, ‘良心’ is ‘good’ and ‘heart’, which ultimately translates into a good heart. Therefore, the term portrays a positive notion. If the word ‘良心’ contains a positive notion in the Eastern Philosophy, we must question if the Eastern translation of the Germanic origin, ‘Gewissen’, is appropriately done. ‘Gewissen’ is originated from Latin word ‘conscientia’ and from Greek word ‘συνείδησις’. These words are formed by combining ‘con-’, ‘συν-’, which means ‘-with,’ and ‘知=know’. Therefore, a literal translation of this term is ‘To know (-with) = know together with~ ’. But when we translate these words, for instance, good conscience(=good good heart) becomes tautology. On the other hand, ‘a bad conscience(= bad a good heart)’, results in an oxymoron. In attempt to resolve this doubt, Ishikawa claims ‘neutral theory of conscience’.
    In this paper, I will first discuss about Ishikawa’s neutral theory of conscience(II). Next I will characterize the basis of Ishikawa’s neutral theory of conscience(III). And lastly I will provide a critical point of view on his neutral theory of conscience(IV). In summary, I will argue that human conscience serving as an internal court is not neutral, but rather stands in favor of the ‘good’. In the end, I will prove that the Eastern translation of conscience based on the Eastern philosophy from the Western language is not tautology nor oxymoron. In this paper, I will concentrate on the neutrality of conscience rather than (ie, ‘double-self’, ‘other in ownself’) the uniqueness of consc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