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남 문인들의 결속과 낙동강 선유의 근대적 재현: 행소박물관 소장 《용화산하동범지도 병풍》 연구 (A Modern Reproduction of the Solidarity and Boating on the Nakdong-gang of Youngnam Literati : A Study on the Folding Screen of Yonghwasanhadongbeomjido in the Hengso Museum’s Collec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4.12
30P 미리보기
영남 문인들의 결속과 낙동강 선유의 근대적 재현: 행소박물관 소장 《용화산하동범지도 병풍》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화 / 21호 / 213 ~ 242페이지
    · 저자명 : 이연주

    초록

    이 연구는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에 소장된 《용화산하동범지도 병풍》을 통해 조선 후기 영남 문인들의 결속과 낙동강 선유의 시각 전통이 어떻게 계승되며 근대기까지 재현되었는지를 밝힌 것이다.
    1607년, 경북 성주 출신으로 이황 문하에서 성리학을 공부했던 정구는 지역 문인들과 함안의 용화산에 함께 모여 낙동강을 선유하고 시를 읊었다. 이들이 모인 이유는 20년 전에 낙동강에 두고 왔던 비석으로 쓸 돌을 다시 찾기 위해서였다. 아직 임진왜란의 상처가 아물기도 전인 당시, 나라를 지키는데 헌신했던 지역 인물들이 대거 참여한 용화산 동범은 영남 문인들의 결속을 도모하고 지역 사회에서 그들의 입지와 위상을 공고히 하기 위함이었다.
    용화산 동범에 참석했던 조임도는 이때의 일을 기록하기 위해 「용화산하동범록」 서문을 써 두었는데, 이 서문은 후일 동범 참석자의 후손인 박상절에 전해졌다. 박상절은 1758년에 조임도의 서문에전하는 참석자들의 행적을 조사해 덧붙이고, 총 8면의 선유 장면과 5언시를 곁들인 《용화산수도》와그 도설을 수록하여 『기락편방』을 간행하였다. 《용화산수도》는 조선 후기에 학통과 세거지를 상징하는 실경산수화가 많이 그려지던 상황에서 낙동강 실경을 배경으로 한 선유 장면을 통해 영남 문인들의결속 의지를 표출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행소박물관에 소장된 《용화산하동범지도 병풍》은 기락편방 의 「용화산하동범록」과 《용화산수도》 를 계승한 대표적인 사례로 비단 바탕에 수묵과 담채를 구사하여 총 10폭의 병풍으로 완성한 것이다. 병풍에 관서나 인장은 남아 있지 않아 누가, 언제, 어떤 목적으로 제작하였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용화산 동범 참석자의 후손 집안에서 선조를 기리는 의미로 병풍을 만들어 가전 해왔을 가능성이 크다. 행소박물관 병풍의 용화산과 낙동강, 선유 장면의 묘사는 세로로 긴 병풍 형태에 맞게 변화했으며 그 직접적인 모본으로 석인본 《용화산하동범지도》가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 석판 인쇄술이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엽으로 당시에는 집안을 장식하기 위한 병풍용 석인본이 제작되어 유통되었다. 민간에 설치된 인쇄소에서는 ‘고서화 모사’를 따로 취급하였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용화산하동범지도》 석인본도 용화산 동범 참석자 후손 집안의 주문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 병풍은 당시 유통되던 석인본을 모방하여 육필로 새로 시각화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이색적이며, 선유 장면의 묘사에서는 화가의 개성과 해학도 돋보인다. 또한 용화산이 장식적인 민화 병풍의 산수 배경으로 활용된 점은 《용화산하동범지도》가 민간 저변의 회화 수요 확대에 따라다층적으로 전승되었음을 확인시켜 준다.
    《용화산하동범지도》는 그간 미술사학계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연구의 주제이다. 그러나 행소박물관의 《용화산하동범지도 병풍》은 조선 후기 실경산수화 전통이 낙동강 연안의 영남 지역까지 파급력을 미치며 전개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인쇄술의 발달에 따라 석인본으로 재탄생한 용화산 동범의 시각 이미지가 병풍 제작에 영향을 미친 점은 전통 회화의 전승이 시각 매체의 변동에 따라 다면적으로 전개되던 근대기 화단의 상황을 반영하기에 중요하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ealed how the solidarity of Yeongnam literati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visual tradition of boating on the Nakdong-gang were inherited and reproduced until the modern period through the folding screen of Yonghwasanhadongbeomjido in the Hengso Museum’s collection.
    In 1607, Jeong Gu, who was born in Seongju, Gyeongsangbuk-do, and studied Neo-Confucianism under Yi Hwang, gathered with local literati at Mt. Yonghwa in Haman to boat on the Nakdong-gang and recite poetry. The reason they gathered was to find a stone to be used as a tombstone that was left on the Nakdong-gang 20 years ago. At the time when the wounds of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1592~1598) were not healed yet, the Yonghwasan Dongbeom, attended by a large number of local figures who were devoted to protecting the country, was to promote the solidarity of Yeongnam literati and to solidify their position and status in the local community.
    Jo Im-do, who attended the Yonghwasan Dongbeom, wrote the preface of Yonghwasanhadongbeomrok to record the incident, which is later passed down to Park Sang-jeol, a descendant of the Dongbeom participant. In 1758, Park Sang-jeol investigated and adde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articipants delivered in Jo Im-do's preface, and published Girakpyeonbang with a total of eight pages of Yonghwasansudo with poetries and illustrations. Yonghwasansudo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xpressed the will of Yeongnam literati to unite through the scene of boating in the background of the real scenery of the Nakdong-g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many paintings of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of prominent families were drawn.
    The folding screen of Yonghwasanhadongbeomjido in the Hengso Museum’s collecti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uccession of Yonghwasanhadongbeomrok and Yonghwasansudo in Girakpyeonbang, and was completed with a total of 10 folding screens using ink and light color on silk. Since there are no official inscriptions or seals left on the folding screen, it is not clear who made them, when, and for what purpose,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descendants of the participants of the Yonghwasan Dongbeom made folding screens to honor their ancestors. The description of the scenes of Mt. Yonghwa, Nakdong-gang, and boat tour changed to fit the vertical long folding screen format, and it is believed that a lithography Yonghwasanhadongbeomjido was used as a direct model.
    It wa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at lithography began to spread in Korea, at the time, lithographs for folding screens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to decorate the house. Printing shops installed in the private sector handled ancient calligraphy and painting copy separately, and in this situation, a lithograph of Yonghwasanhadongbeomjido would have been commissioned by the descendants of the participants. The folding screen in the Hengso Museum’s collection is unique in that it is a newly visualized work with handwriting by imitating the lithographs in circulation at the time, and the artist's personality and humor stand out in the description of the scene of boat tour. The fact that Mt. Yonghwa was also used as a landscape background for decorative folk paintings reflects the situation in which the Yonghwasanhadongbeomjido was handed down in a variety of ways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demand for paintings in the private base.
    The Yonghwasanhadongbeomjido is a subject of research tha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art history community. However, the folding screen of Yonghwasanhadongbeomjido in the Hengso Museum’s collection is important because it shows that the tradition of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passed down to the Yeongnam region along the Nakdong-gang. In addition, the visual image of Yonghwasan Dongbeom was produced of lithographs and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printing,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the situation of the modern painting world, where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paintings was carried out in multiple way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visual med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