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속삭이는 목소리로서의 '대동강'과 어머니 형상의 두 얼굴 -김동인 소설의 정신분석적 읽기 시론(試論)- (‘Taedongkang' as a whispering voice and two faces of mother figure -an essey on a psychoanalytic reading of Kim dong in's novel-)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8.04
34P 미리보기
속삭이는 목소리로서의 '대동강'과 어머니 형상의 두 얼굴 -김동인 소설의 정신분석적 읽기 시론(試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1권 / 17호 / 223 ~ 256페이지
    · 저자명 : 권희철

    초록

    이 글은 김동인 소설의 기괴하고 섬뜩하며 악마적이고 광기어린 요소들의 내적 논리를 파악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 이 점에서 ‘대동강’이라는 소재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왜냐하면 앞서 언급한 요소들이 대동강이라는 공간적 배경 속에서 자주 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동강을 소재로 한 작품들을 분석해 보면 대동강이 단순히 지리적 장소라기보다 문자적 질서 너머에 있는 어떤 것, 의미화에도 늘 남게 되는 어떤 것을 환기시키는 매개로 등장한다는 점을 알아차릴 수 있다. 이 점에 주목할 때, 대동강이 늘 목소리의 형태로 등장한다는 사실 또한 드러난다. 그것은 목소리라는 것이 바로 어떤 의미화 작용에도 포섭되지 않는 그 나머지, 바로 그것이기 때문이다. 목소리는 대립적인 요소들로 나눠질 수 없는데, 의미라는 것은 오로지 대립쌍을 통해서만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목소리에 배정될 의미는 없는 것이다. 이 대동강의 목소리적 특성은 단지 소재의 차원이 아니라 김동인의 예술관과 직결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김동인은 대동강, 즉 이성적인 질서 너머에 있는 매혹적이면서도 동시에 위험한 것과의 접촉 속에서만 비로소 시적인 것, 참예술이 탄생한다고 봤기 때문이다. 만일 우리가 김동인 소설에서 ‘대동강 사상’이라고 부를 만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면 그것은 사실 이 ‘목소리=시적 영감의 원천’을 가리키는 말일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해서 목소리의 영역만이 참예술에 해당하는 것인가. 그것은 아마도 저 목소리가 상기시키는 무정형의 모호한 세계가 우리에게 불러일으키는 숭고한 감정 때문일 것이다. 저 목소리는 모든 가능한 현상적인 경험을 초월한 사물의 진정한, 더할 나위 없는 장엄함을 지시함으로써 우리에게 쾌락을 선사한다. 바로 이 숭고한 감정을 두고 김동인이 참예술이라고 불렀던 것이 아닐까. 그리고 그 점이 대동강의 속삭이는 목소리의 형태로 드러난 것이 아닐까. 이렇게 볼 때 김동인 소설의 두 가지 계열화가 가능하다. 한 쪽 편에서 대동강의 속삭이는 목소리에 이끌려 인생을 탕진하거나 파멸에 이르는 작품들이, 그리고 반대편에서 이 모호한 목소리를 제어하려는, 그러나 실패할 수밖에 없는 시도들이 놓여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grasp of inner logic of Kim dong in's novel-uncanny, horrified, demonic, insane, etc. Therefore Taedongkang in where the uncanny, horrified, demonic, insane points appear is a subject matter worthy of notice. If we analyze the texts which concludes the subject matter, Taedongkang, we can realize that Taedongkang is not a geographical location, but the medium recalling something resistant to the signifying operation and exist beyond the order of letter.
    When we take notice of this, we can also realize that Taedongkang always appear under the form of voice; the voice is the remainder and the surplus not subsumed with signification. It cannot be broken down into differential oppositions, since it was this dissolution that produced it in the first place. So there is no meaning that could be assigned to it, since meaning springs only from those oppositions.
    Keeping the fact that Taedongkang always appear under the form of voice, we can call this 'principle of the auditory sense's priority'. The reason why we call this 'principle', not inclination, is the auditory sense's priority works on the level of the creating story, not on the level of a subject matter.
    Taedongkang as a whispering voice works on the level of the creating story, not on the level of a subject matter. That is why we take notice Taedonkang. Insight of Kim dong in is that poetics and true-arts(Tchamyesul) originate only in the contact with seductive, intoxicating but threatening object, which is beyond the safeguard of reason and is in Taedongkang. If there is what we can call idea of Taedongkang, the idea should be 'voice=the sourse of poetic inspiration'.
    Now, we are able to ask what makes voice to true-arts. The answer is the sublime arised from amorphous and ambiguous world, what the voice recalling. The voice gives us pleasure by indicating the true, incomparable greatness of the Thing, surpassing every possible phenomenal, emprical experience. It seems that Kim dong in calls this feeling of sublimity true-arts. Consequently, in his work, poetics can appear under the form of whispering voice.
    On this account, we can divide Kim dong in's novel into two. Several works shows that the voice plans someone's ruin and that someone squander being possessed by the voice. And the other works shows the try to control the threatening power of ambiguous voice, but the try must turn out fail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