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남지역 명승의 교육적 활용방안 -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과 광주 환벽당 일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sures to Make Educational Use of Scenic Spots in the Honam Regi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4.02
25P 미리보기
호남지역 명승의 교육적 활용방안 -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과 광주 환벽당 일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67호 / 509 ~ 533페이지
    · 저자명 : 김광명

    초록

    名勝이란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문화재보호법 제2조 제1항 제3호)으로 정의되어 사적이나 천연기념물과 같이 문화재의한 종목으로 분류된다. 이 논문은 호남지역 명승 문화재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검토 및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Ⅱ장에서는 호남지역의 명승 문화재를 개관하고 그 현황을 고찰하였다. 이를통해 우리나라의 명승 문화재 총 131곳 가운데 호남지역에 39곳의 명승 문화재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호남지역은 여타 지역에 비해 가장 많은 명승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그 가운데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과 광주 환벽당 일원을호남지역의 대표 명승 문화재로 선정하여 교육적 활용방안의 소재로 활용하였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호남지역 명승을 활용한 교육적 활용방안의 사례로,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범교과 학습 주제 중 ‘환경·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적용한 환경 정화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제안하였다. 우선,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적용한 사례에서는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다섯 가지 교과 역량 중 ‘심미적 감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고, 광주 환벽당 일원 명승 문화재를 활용한 한문과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 지도안은 블록타임제를 적용한 고등학교 수업 사례로, 명승 문화재를 소재로 한 한시 학습을통하여 학습자가 명승 문화재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선현들이 명승을 향유하는방법을 감상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범교과 학습 주제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적용한 환경 정화 활동 프로그램의 사례에서는 프로그램 운영 계획서를개발 및 제안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명승 문화재이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인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을 직접 걸으며 자연경관을 감상하고, 환경 정화 활동을 통해 환경을 대하는 바른 태도를 갖고 환경 의식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명승 문화재를 활용한 교육의 가치와 의의를 살펴보았다. 명승 문화재의 교육적 활용의 가치와 의의는 각 지역의 명승 문화재를 활용함으로써 자연 친화적인 교육이 가능한 점과 학습자가 직접 미적 가치 체험을 하며심미적 감상의 주체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유롭고 능동적인 학습 태도를 고취할 수 있다다. 또한, 명승 문화재를 활용하여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관광 콘텐츠로 활용 및 운용할 수도 있다.

    영어초록

    (Article 2, Paragraph 1, Item 3) as “scenic spots of outstanding artistic value and excellent scenic view,” and, like historic spots and natural monuments, are classified as a category of cultural heritage. This paper aims to explore and examine educational utilization strategies for scenic cultural heritage spots in the Honam region.
    Chapter II provides an overview and current status of scenic cultural heritage in the Honam region. It was found that 39 out of the total 131 scenic cultural heritage spots in South Korea are located in the Honam region, which possesses the highest number of such spots compared to other regions. Detailed examinations were conducted on spots including Hwanbyeokdang Pavilion in Gwangju and Chaeseokgang and Jeokbyeokgang Cliffs in Buan.
    In Chapter III, this study examined an instructional plan incorporating the revised 2022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an environmental cleanup activity program applying the 'Environmental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eme from inter-disciplinary learning topics as cases of educational approaches utilizing scenic spots in the Honam region. The case applying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focused on the 'Aesthetic Sensibility' among the five competencies of the curriculum. An instructional plan was developed utilizing the scenic cultural heritage of Hwanbyeokdang Pavilion in Gwangju. Designed for high school lessons applying block scheduling, the plan allowed students to experience scenic cultural heritage directly and appreciate the ways in which sages enjoyed scenic spots through learning Classical Chinese poetry. Secondly, an operational plan applying the 'Environmental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eme was developed and proposed in the environmental cleanup program case. The program aimed to allow participants to walk through the Chaeseokgang and Jeokbyeokgang Cliffs in Buan, part of a UNESCO Global Geopark and a scenic cultural heritage site, appreciate the natural landscape, and cultivate a correct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and enhanc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rough cleanup activities.
    Finally, Chapter IV examine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utilizing scenic cultural heritage in education. The educational value and significance of using scenic cultural heritage lie in the potential for nature-friendly education, enabling learners to become the subjects of aesthetic appreciation through direct experiences of aesthetic values, thus fostering a free and proactive learning attitude. Furthermore, scenic cultural heritage can be used and operated as cultural and tourism content representing the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