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영각의 언론활동과 하와이 한인사회의 현실 인식 -The Young Korea와 The American Korean을 중심으로- (The Media Activities of Young-Gak Kang and the perception of the realities of the Korean-American Society in Hawaii -Focusing on The Young Korea and The American Korean-)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0.09
50P 미리보기
강영각의 언론활동과 하와이 한인사회의 현실 인식 -The Young Korea와 The American Korean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04호 / 5 ~ 54페이지
    · 저자명 : 이현희

    초록

    하와이로 이민 온 이후 미국식 교육을 받은 강영각은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주로 언론활동을 통해 하와이 청년사회의 계몽을 이끌었다. 그는 The Young Korea와 The American Korean을 통해 자신의 조직적 기반을 갖추고 당시의 하와이 한인사회에 대해 다양한 목소리를 전달하였다. 그러나 그의 언론활동은 재정적 기반의 부재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고, 이에 따라 수차례 정간을 겪을 수 밖 에 없었다. 또한 본인 중심의 조직 운영이라는 태생적인 한계 때문에 다른 한인청년사회와 갈등을 가지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언론활동은 끊이지 않고 이어졌고, 이러한 그의 언론을 통해 나타난 여러 기사를 통해 한인 사회의 다양한 시각을 살펴볼 수 있다.
    그의 언론은 기본적으로는 계몽적인 논설을 바탕으로, 한인사회의 통합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192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미국주의를 둘러싼 갈등이 부각되기도 하였다. 중도적인 한인사회에서는 한인사회의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는 가운데 서구문명과의 결합을 추구하였지만, 적극적인 서구문명 수용세력에서는 한인 위주의 민족자결주의를 대신하여 다민족간의 공존을 강조하였고, 기독교 정신과 물질문명을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강영각의 The Young Korea와 The American Korean에서는 3‧1운동 이후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서 독립을 위한 모색을 하던 당시의 한인사회의 모습을 보여준다. 당시 이들 언론에서는 산발적으로 국제정세에 대해 논의하였는데, 워싱턴회의에서의 군축과 미국교회를 통한 일제의 한국지배 비판에 관한 기사 등이 이를 보여준다. 또한 제1차 세계대전 승전기념일 역시 하와이 한인사회에 있어 민족자결주의와 이에 따른 3‧1운동을 떠오르게 하는 기제가 되었다. 나아가 이들은 3‧1절 기념식을 통해 3‧1운동이 단순히 한인들의 독립선언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비폭력저항이라는 의미에서 인류의 보편타당한 가치를 가진 3‧1독립 선언서는 미국의 독립선언서와 동등한 문서로 여기기까지 하였다. 이처럼 3.1운동은 미주 한인사회에 있어 한국독립운동의 원형이자 자신들의 활동 기반이 되었다.

    영어초록

    After immigrating to Hawaii, Young-gak Kang, who received American education at Pomona University, led the enlightenment of the Hawaiian youth society through media activities from the 1920s to the 1940s. He established his own organizational press institutes, The Young Korea and The American Korean and delivered various voices about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in Hawaii. However, his media activities were limited by the lack of a financial foundation, so he was forced to suffer several times. In addition, due to the inherent limitations of self-centered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re were also conflicts with other Korean youth societies. Nevertheless, his media activities continued endlessly, and through various articles appearing through his media, various perspectives of Korean-American society can be examined.
    His press emphasized the integration of Korean American society, based on enlightening discourses. However, in the mid-1920s, conflicts surrounding Americanism also emerged. In a moderate Korean society, while respecting the traditions and cultures of Korean society, they sought to combine with Western civilization, but the active acceptance of Western civilization emphasized the coexistence of multi-ethnic groups instead of Korean-centered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they recognized Christanity and Materialism as important values.
    Lastly, The Young Korea and The American Korean of Young-gak Kang show the appearance of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who were seeking for the korean independence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At that time, these media sporadically discusse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rticles on the disarmament at the Washington Conference and the criticism of Japanese rule over Korean rule through the American church show this tendency. In addition, the Victory Day of World War I also served as a mechanism to remind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the March First Movement. Furthermore, through the March 1 commemoration ceremony,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was not merely a declaration of independence by Koreans.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Korea in March, was regarded to have an universal values ​​of humanity in the sense of non-violent resistance, so this declaration was campared as an equivalent document to the U.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s such, the March 1st Movement became the prototype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basis of their activities in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