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서예론의 배경과 전개양상 일고—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background and unfolding aspect of the theories of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 Based on Gwang-sa Lee, Se-hwang Gang Sang-suk Ki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4.06
27P 미리보기
18세기 서예론의 배경과 전개양상 일고—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73호 / 279 ~ 305페이지
    · 저자명 : 최경춘

    초록

    본고는 18세기 서단의 대표적 인물인 圓嶠 李匡師(1705~1777), 豹菴 姜世晃(1713~1791), 坯窩 金相肅(1717~1792)의 서론을 검토하여 18세기 서예론의 배경과 전개양상을 고구해 보았다.
    먼저 18세기 서예론의 성립배경으로, 18세기 書風에서 이전 시기 서예술의 추이를 살펴보면, 한호의 석봉체는 힘찬 필법으로 여러 묘법을 두루 겸비했으나 정신성의 부재로 말미암아 서단에서 퇴조되었다. 그 후 眉叟 許穆은 「衡山神禹碑」를 근간으로 古篆體를 창안하였다. 특히 허목의 서체는 그에게 사숙한 玉洞 李漵에게 영향을 미쳤는데, 이서는 「筆訣」을 지어 한국서예사상 최초로 書論을 남겼으며, 王羲之의 學書를 바탕으로 玉洞體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옥동체는 그 후 恭齋 尹斗緖에게 전하였는데, 이는 白下 尹淳으로 이어져 당대에 일세의 변화를 일으켰다. 그리고 윤순의 白下體는 이광사에게 그 영향을 미쳐 드디어 강세황, 김상숙 등의 서가들의 개성적 서체가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8세기 서예론의 구체적 전개양상으로, 이광사는 ‘法古’를 통한 ‘創新의 길’을 역설하였는바, 臨書는 철저하고 정밀히 해야 하며 법첩에 내포된 서가의 意氣를 통한 法古創新論을 중시하였다. 강세황은 글을 쓸 때 得心應手하는 마음의 자세를 갖추고, 그 외형에 집착하지 않고 궁극적으로 그 形 속에 들어있는 神韻을 체득하는 臨書探古論을 설파하였다. 김상숙은 서가의 마음속에서 우러나는 필획을 중시하는 心畫을 강조하여, 작가의 내면세계가 서론을 통해 온전히 전달되는 경지에 이르러야 서법이 완성된다는 手隨心運論을 전개하였다.

    영어초록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each theory of calligraphy of the leading calligraphists in the 18th century such like Wongyo Gwang-sa Lee(1705~1777), Pyoam Se-hwang Gang (1713~1791), Baewa Sang-suk Kim(1717~1792) and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define each theory of calligraphy with their respective personality.
    Kwang-sa Lee had completed his style b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researching on the various monuments done by xi-zhi Wang(王羲之). As part of emphasizing the revival of xi-zhi Wang style, hestudied the basic of calligraphy earlier and wrote calligraphy that can be a match for that of xi-zhi Wang. Although he took example by xi-zhi Wang, he had studied on the various stone monument of Han(漢) and Wei(魏) dynaste faithfully, who were the grounds of the style and worked on the conventional patterns and the strength in it to accomplish his own unique style.
    Se-hwang Gang viewed that the square style is much closer to the semicursive style than cursive style. Also if anyone sticks to only the square style, his style could be stiffened with limited sight, while one who studies the semicursive style will gain extended sight through the flexibility and space perception given by the writing speed. So he believed if one does the square style in the way of the semicursive style, he would secure broad and firm strength in his calligraphy. Therefore Se-hwang Gang claimed that all the calligraphy methods are actually identical and it’s unnecessary to divide between the semicursive style and the cursive style.
    Sang-suk Kim didn’t imitate other styles but had a thorough research on the collections of yao Zhong(鍾繇) such like xuanshibiao(宣示表), jianjizhibiao(薦季直表), and limingtie(力命帖) by imagining the ancient ethics in those works. At result, he accomplished a style called ‘Jikha’ which has thin and strong writing pattern with less streaks and moderate phrases. His style contains simple but sharp ethics in it and features thin squares and hemistiches mainly revealing the loftiness of a classical schol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