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 江汀洞 ‘대궐터’ 유적의 역사적 성격 - 고려시대 몽골의 제주지배기와 관련하여 -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lace Site' in Gangjeong-Dong, Jeju - Regarding the Period of Mongol Rule of Jeju during Goryeo Dynasty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5.08
34P 미리보기
제주 江汀洞 ‘대궐터’ 유적의 역사적 성격 - 고려시대 몽골의 제주지배기와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60호 / 135 ~ 168페이지
    · 저자명 : 김일우

    초록

    제주 서남부 지역의 강정동 ‘대궐터’는 300여 년 전부터 주목받았음이 드러나는 유적이다. 이렇게 된 데는 제주의 ‘대궐터’란 지명 가운데 여기만이 유독 사서를 통해서도 확인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또한 1704년 무렵 제주목사 宋廷奎가 濟州城 외에 ‘宮闕’이라고 칭하는 것은 강정동 대궐터 밖에 없다고 단언한 뒤, 강정동 대궐터는 1366년~1369년에 조영공사가 추진되었던 몽골 황제 순제의 피난궁전 터로 본다는 논의를 제기했다. 이 사실은 현직의 제주목사가 제기했던 만큼, 허투루 말했다고 할 수 없지 않을까 한다.
    한편, 몽골의 제주지배가 80여 년이 지난 1360년대 무렵, 제주사회의 중심지역과 권력의 중심부는 제주의 서남부권, 곧 오늘날 서귀포시 洞 지역의 서쪽에 자리잡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아울러, 몽골이 제주의 서남부 지역에서 황제 순제의 피난궁전 조영공사를 일으켰고, 몽골 왕족 출신의 제주 유배인을 거주・정착케 할 목적의 대규모 주택단지・주택조성도 이루어졌음이 드러난다. 더 나아가 강정동 대궐터 유적은 2015년 발굴조사를 통해 14~15세기에 걸쳐 축조된 건물지가 드러났거니와, 이곳의 수습 유물은 강정동 대궐터가 몽골과 관련성을 지녔음직한 점도 시사해주고 있다.
    이상의 사실을 종합・유기적으로 미루어 보자면, 제주 강정동 대궐터는 몽골 황제 순제의 피난궁전 터나, 혹은 명과 고려가 몽골 왕족 출신의 제주 유배인을 거주・정착케 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던 대규모 주택단지・주택조성과 관련된 유적일 듯싶다.

    영어초록

    The Palace Site in Gangjeong-Dong is the ruins that have been taken notice of since 300 years ago. Such notice has been possible because this site alone is confirmed by historical records among the place titles that have 'Palace Site' in theirtitles which is also used to designate historical sites in Jeju. In historical records, this place name is marked as ‘Daegwolgi(大闕基)’, which is, in fact, a first example of writing in borrowed chinese characters. Additionally, around the year 1704, then-Jeju Moksa(牧使), Song, Jeong-Kyu asserted that except for the Jeju Fortress, there is no other places referred to as 'Palace' than the Palace Site in Gangjeong-Dong, regarding it as the site of palace where Mongol Emperor Soonje would take a refuge, whose construction work was in progress over the years from 1366 to 1369. As much as these remarks were brought forward by the incumbent Jeju Moksa(牧使), they cannot be taken lightly.
    Meanwhile, around the 1360s when the Mongol's ruling of Jeju seemingly reached the apex, it was evident that the main region of Jeju society and the center of power was positioned in the southwest area of Jeju, today's west of Seowipo-Si. Besides, as for the ruins of the Palace Site in Gangjeong-Dong, the site of the building constructed over the centuries from 14 through 15 was revealed through excavation research, suggesting the building site had some relevance to Mongol.
    Jeju's historical and archeological research achievements made today are additionally supporting the view of Jeju Moksa Song, Jeong-Kyu that the ruins of the Palace Site in Gangjeong-Dong were the palace site of refuge for Mongol Emperor Soonje. on that accunt, literature review on the palace site should be enhanced while excavation investigation should be expanded into the vicinity centering on the remains excavated in February, 2015.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precinct of Beophwa-Sa in Goryeo Period since a large-scale housing complex and houses, appear to have been formed within this precinct which Mingand and Goryeo Dynesties intended to create for the exiled Mongol royals to reside and settle 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