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토 게이치(伊藤桂一)의 전쟁문학 고찰 —강가의 이별(河畔の別れ)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War Literature of Keiichi Ito – Focusing on Farewell to the Riverbank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04
23P 미리보기
이토 게이치(伊藤桂一)의 전쟁문학 고찰 —강가의 이별(河畔の別れ)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군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군사문화연구 / 25권 / 319 ~ 341페이지
    · 저자명 : 조주희

    초록

    본고는 이토 게이치(伊藤桂一)의 「강가의 이별(河畔の別れ)」을 텍스트로 하여 작품 속에 나타난 일본병사와 위안부의 표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작가의의도를 파악하고자 했다.
    중국의 강남지역의 한 군대 주둔지를 둘러싸고 전임 책임자인 오다 중사와후임인 구마이 중사의 인수인계 과정에서 중요한 인물로 등장하는 ‘오스미’라는여성은 인수인계 물품과 같이 취급되면서 거래가 되고 있고, 작품 내에서 감정과고통이 배제된 채 제3자들의 관찰 속에서만 존재한다. 나아가 다수의 일본 병사를상대하는 그녀에 대해 작가는 오히려 ‘1처다부’를 언급하며 피지배자였던 그녀의위치를 지배자로 위치시키며 특권을 누리는 것으로 왜곡시키고 있다.
    또한 그녀에 대한 부대원들의 태도에서 자주 언급되는 ‘소중하다‘는 어휘는통상적인 감사나 사랑의 감정이 아니라, 부대원들의 성욕처리를 해 주는 유일한존재의 변심이나 소멸에 대한 두려움과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사용되고있다는 점에서 위화감을 느끼게 한다. 성 교섭시의 화대 이상으로 웃돈을 주면서까지 그녀를 소중히 대하는 그들의 행위에서 위안부의 결손을 우려하는 제국 일본의 위안부 관리 실태를 엿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작가는 일본 병사들이 그녀를 주고받는 관계에 대해 ‘하늘이 내린선물’을 양보하는 선후배 관계로 묘사하며 작품의 전체 분위기를 전쟁 미담이나추억담으로 미화시키고 있다. 하지만 그들이 자행하고 있는 것이 명백하게 ‘전시매춘’이자 ‘전시 강간’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의도적으로 무시하거나 혹은 인지하지 못하고 있고, 아울러 이를 당연시 하는 가해자 의식마저 느끼게 한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 the “Farewell at the Riverbank (河畔の別れ)” written by Ito Keiichi Ito in order to find the representation of the army and the enforced sex slaves at the Japanese Empire age as well as the intention of the writer.
    In the book, the background is an army post of the Japan Empire in the south region of China. Sergeant Gumai takes the post over from Sergeant Oda who was the former manager of the post. During the process, a woman named “Osmi” appeared. She was considered as a “resource” of the post and traded like that. She doesn’t have a voice in the book but does exist only in the observations of others. Her emotions and agonies were perfectly eliminated and unheard. The writer mentioned “polyandry” with regard to her position which has to deal with a number of Japanese soldiers sexually every day, and elevated her position from “subordinate” to a “ruler” interpreting her situation as “privileged”.
    Oda said everyone in his unit cherished “Osmi” deeply and asked Gumai to take good care of her. Given the circumstances, this is an extreme example of misuse of the phrase “taking care of someone”. As “Osmi” is a sex slave and considered and treated as “resource” belong to the troops, she was looked after preciously as goods, especially she was the only one that satisfies their sexual needs. The soldiers in the unit treated her good because they were afraid of her heart change, rejection, or being removed from their post.
    The conversations between Oda and Gumai concluded that Osmi enjoys the life of enforced sexual slave for the army, which indicates the writer’s intention to minimize the war crime committed by them. The words from Oda and Gumai made her more than a sexual slave but a wife for every soldier who is loyal to the country. Since she takes care of the faithful army of the empire and the emperor, her “service” to the soldiers is considered similar to a relationship of a family from their perspectives. Consequently, her agonies and pains as sex slave were volatized and only “loyalty” and “obligation” as citizen of the Japanese Empire remained.
    In the end, her “service” was considered as a gift from the heavens and the soldiers warmly disclaimed the opportunities to receive her service each other like a good senior – junior relationship in college. The overall atmosphere of this work is an impressive story or memories at war time. This means that the writer Keiichi Ito not only fails to recognize the “rape crime at war” but also possesses an attitude to justify the crimes as necess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군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