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전쟁 초기 청주지역 의병진의 성격과 활동 - 朴春茂와 趙綱 의병진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 and Activities of Righteous Army Camps in Cheongju Area in the Early Imjin War - Focusing on Park Chunmu’s and Jo Gang’s Righteous Army Camps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02
39P 미리보기
임진전쟁 초기 청주지역 의병진의 성격과 활동 - 朴春茂와 趙綱 의병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66호 / 205 ~ 243페이지
    · 저자명 : 유동호

    초록

    임진전쟁 초기, 청주지역의 의병들은 鄕保義兵과 勤王義兵의 성격을 모두 가졌다. 박춘무·박춘번·박동명·이시발·조강·정약·김선복·박우현·박사현·신용·박춘란 등이 청주지역 의병장이었다. 청주지역 의병장들은 學脈과 婚脈으로 연결되어, 의병진을 꾸렸다.
    청주지역에서 가장 먼저 창의한 인물은 박춘무였다. 박춘무는 송제민의 권유로 창의하여, 김천일·고경명·조헌의 의병진과 연대하였다. 박춘무와 비슷한 시기에 조강도 자신의 사회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보은·회인 일대에서 창의하였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일본군은 군량의 확보와 보급을 위해 전라도를 공략하였다. 이 과정에서 금산성이 일본군에게 함락 당했다. 조헌은 금산성의 배후를 확보하기 위해, 7월 말에 청주성 탈환 전투에 합세하였다. 조헌·박춘무·영규·이옥 등이 지휘하는 연합군은 8월 1일에 일제히 청주성을 공격하여, 8월 2일에 청주성을 탈환하였다. 청주성을 탈환한 후, 박춘무 의병진은 진천·괴산 일대에서 활동하다가 한양 일대로 활동무대를 옮겼다. 조강의 의병진은 혼란한 상황과 학맥의 차이로 청주성 탈환 전투에 참여하지 못했으나, 청주 송령에서 일본군을 격퇴한 후, 죽산으로 올라와 큰 전공을 세웠다.
    청주성 탈환은 8월 1일 단 하루 만에 이루어낸 결과가 아니라, 한 달 여간 지속된 전투의 결과였다. 그 과정에서 조헌·영규의 의병진뿐만 아니라, 박춘무·박우현·김선복·박사현 등이 이끈 청주지역의 의병진도 큰 역할을 하였다. 조강 의병진은 혼란한 전황과 학맥의 차이로 청주성 전투에 참여하지 못했지만, 또 다른 의병진과 연대하여 의병활동을 하였다. 그 결과 일본군의 중요 거점이었던 죽산 일대에서 승리를 거두어, 도성을 수복하는데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righteous army in Cheongju area was local righteous armies for protecting families and homelands, they were gradually transformed to loyal righteous armies as they collaborated with those in other areas. Park Chunmu, Park Chunbeon, Park Dongmyeong, Lee Sibal, Jo Gang, Jeong Yak, Kim Seonbok, Park Uhyeon, Park Sahyeon, Sinyong and Park Chunran were righteous army commanders in Cheongju area during the period of Imjin war. They were connected through scholastic(學脈) and marriageable veins(婚脈).
    It was Park Chunmu who created a righteous army first in Cheongju area. Park Chunmu was recommended by Song Jemine to create the army, both of whom studied under the same teacher, Lee Jiham, joined up with righteous army camps of Kim Cheonl, Go Gyeongmyeong and Jo Heon.
    As the war was prolonged, Japanese army attacked Jeolla-do, in order to secure and supply provisions. In the process, the Geumsan fortress was fallen by Japanese army. In order to secure the back of the Geumsan fortress, Jo Heon participated in the strategy to occupy the Cheongju fortress, in late July. The allied forces attacked the Cheongju fortress all at once on August, 1 and took back it on August, 2. After the recapture of the Cheongju fortress, Jo Heon and Park Chunmu led to Geumsan and Jincheon, respectively. After achieving a great victory, Park Chunmu developed righteous army movement in the whole place of Goisan and Jincheon, until 1593 (Seonjo 26). Jo Gang’s righteous army camp could not participate in the Cheongju fortress battle, primarily because of different scholastic veins of righteous army commanders. Although Jo Gang’s righteous army camp could not participate in the Cheongju fortress battle, it moved to Juksan and rendered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s, after repulsing Japanese army in the Songryeong battle.
    The recapture of the Cheongju fortress was not the outcome achieved in a day, August, 1 but that of the battle which continued for about a month. In the process, not only righteous army camps of Jo Heon and Yeong Gyu, but also those led by Park Chunmu, Park Uhyeon, Kim Seonbok and Park Sahyeon in Cheongju area play significant roles. Although Jo Gang’s righteous army camp could not participated in the Cheongju fortress battle, due to chaotic war situations and different scholastic veins, it developed righteous army movement by cooperating with other camps, with the aim of being loyal to the king. Therefore, it made a contribution to the recapture of the capital city, by winning a victory in the whole place of Juksan, a key point of Japanese arm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