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병, 전쟁 연쇄 그리고 파병의 논리 -선우휘의 「물결은 메콩강까지」(1966)를 중심으로- (Student Soldiers, Serial Wars, and the Logic of Sending Troops to Vietnam)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11
39P 미리보기
학병, 전쟁 연쇄 그리고 파병의 논리 -선우휘의 「물결은 메콩강까지」(1966)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25호 / 155 ~ 193페이지
    · 저자명 : 장세진

    초록

    선우휘의 「물결은 메콩강까지」는 베트남 전투병 파병이라는 당대의 사회적 이슈와 관련하여 상당히 직접적인 친정부적 프로파간다의 성격을 띤 작품이다. 이글에서 주목한 것은 이 작품이 파병을 찬성하는 근거로 전형적인 냉전 논리인 반공주의를 동원할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해 과거 아시아․태평양 전쟁에 학병으로 참전한 경험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선우휘의 텍스트를 단지 베트남 파병이라는 개별적인 사안 뿐만 아니라 한일협정 체결이 상징하는 ‘65년 체제’라는 보다 포괄적인 맥락에서 읽어야 할 필요가 여기에 있다.
    당시, 학병은 1960년대 한일협정 반대 국면을 거치면서 민족의 수난과 역사의피해자로 스스로를 일관되게 상상하게 만드는 아이콘이었다. 수난자로서의 피해의식이 공론장에 팽배해 있는 가운데, 이 정서를 파병 국면으로 연결시킨 것이 바로선우휘의 「물결은 메콩강까지」였다. 이 텍스트의 내적 논리에 의하면, 미국 편에서서 베트남전에 가담하는 것은 과거의 전쟁들-아시아․태평양전쟁, 한국전쟁-에서와 마찬가지로 역사에 의해 개인이 원하지 않는 운명을 맞이하는 일이 된다.
    한 발 더 나아가, 이 텍스트는 운명을 감내하는 영웅적인 비극의 윤리를 베트남전쟁을 배경으로 설파했다. 물론, 이 시기에 학병 체험을 정면으로 다루며 쓰여진학병수기들의 경우, 기본적으로 반전(反戰) 평화의 입장에 서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반전은 과거 전쟁들에 국한해서였고, 현재 진행 중인 베트남전쟁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65년 체제’가 반(反)식민의 저항적 민족주의의 정서를 최대치로 이끌어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결국 반일민족주의로 협소하게 고착된다. 이로써 현재의 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신식민주의에 적극 가담한스스로에 대해서는 눈을 감게 되는 결과가 된다.

    영어초록

    Seon Woo-hui’s “The Waves Flow to the Mekong River” (「물결은 메콩강까지」) is a pro-government propaganda on contemporary society’s social issue of sending combat troops to Vietnam in 1960’s . This paper focused on how the text mobilized anticommunism, a typical Cold War rhetoric, as the grounds for support to send troops, but it also uses the author’s experience in the Asia-Pacific War as a student soldier. This aspect presented the need to read Seon’s text more comprehensively in the context of the “1965 System” symbolized by the Korea-Japan Agreement, beyond the issue of sending troops to Vietnam.
    At the time, student soldiers were the symbol that created the imagination of an individual representing the Korean people’s sufferings and victim of history, as the society opposed the Korea-Japan Agreement in the 1960s. As the sufferer, a victim mentality was widespread in the public. Within this public, the work that connected this sentiment to send troops was Seon’s “The Waves Flow to the Mekong River.” According to the logic of this text, participating in the Vietnam War on the side of the United States means that one would face an unwanted destiny as in the past wars, Asia-Pacific War and the Korean War.
    Furthermore, this text expressed the background of the Vietnam War as ethics of heroic tragedy in which an individual endures this destiny. In the cases of memoirs of student soldiers that directly deals with the experiences produced in the same period, the foundation of such writings was antiwar peace. Nevertheless, their antiwar stance was just about the past wars, and they remained silent on the Vietnam War at the time. While the “1965 System” maximized the anti-colonial mindset, this eventually becomes fixated as anti-Japanese nationalism. As such, this logic turns a blind eye that participates in neo-colonialism against Asia in the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