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茶山 實學사상과 조선말기 姜甑山사상의 비교 - 실학적 전통회귀와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 (Comparison between Dasan’s Thought and Kang Jeungsan’s Thought of the Late Chosun Dynasty - Returning to the Tradition and Understanding of Humans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9.03
36P 미리보기
茶山 實學사상과 조선말기 姜甑山사상의 비교 - 실학적 전통회귀와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53호 / 317 ~ 352페이지
    · 저자명 : 고남식

    초록

    이글은 조선후기 다산의 실학사상을 중심으로, 조선말기에 출현한 증산의 사상이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다산 실학사상의 발전과 심화라는 포물선상에 있다는 궤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는 다산 실학사상 이후 출현한 수운의 동학사상이 그 중간점을 이루고 있다는 면이 대변해준다.
    다산 정약용의 사상이 지닌 가치와 의미는 동서양의 사상적 물결이 충돌하는 역사적 시점을 살면서 그 합류의 가능성을 찾아 더욱 큰 사상사의 물줄기를 열어 주었다는 점이다. 증산은 조선왕조 말기에 탄강하여 실학파 사상가들과 맥을 같이 하며 조선의 변혁을 꾀하였다. 특히 서양 세력의 조선 진출로 대내외적 상황이 급변하는 격동기에 증산은 동학의 실패로 좌절한 민중들에게 相生이라는 구원의 메시지를 弘布했으며 이는 실학의 實事求是의 정신과 맥이 닿아 있다.
    다산이 西學의 영향으로 성리학적 질서를 벗어나 유학적 유신론을 기저로 선진유학에서 체제 모순을 극복하려했다면 증산은 유신론적 입장에서 보아 선진유학의 이론 위에 사상의 융합을 주장하였다. 요순시대로 돌아가 聖스러운 이들이 세계를 경세하여야 이상적인 세계가 이룩된다는 다산의 주장과 脈을 같이 하지만, 다산과 차별화되는 것은 三皇시대로 까지 회귀하자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증산은 현재의 도의 근원이 복희시대였다 하고, 인류역사의 시원이 史略에 의할 때 天皇으로부터 시작하여 긴 시대를 거쳐 19세기 말 증산 자신의 사상적 정립을 통해 세계를 구원하게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증산은 쇠락하는 유교 봉건체제의 끝자락에서 유신론적 사상을 주장했는데 이는 다산이 주장한 상제를 유일신으로 하는 유교적 유신론의 맥락에 있는 것이다. 다만 증산이 조선사회에서 유교적 유신론과 맥을 같이하여 출발하였지만 그의 주장은 유교를 포함 유불선 등 범 사상에 대한 유신론으로 까지 확장 전개된 논리인 것이다. 인간의 窮理에 대해서 보면 궁극적으로 증산은 유신론적 입장을 전개했지만 다산과 다르게 이기론을 멀리하지 않았다. 상생, 포용적 관점에서 이기론을 수용하여 그것을 인간 수양에서 중요하다하고 마음의 수양에까지 귀결시켰다. 증산은 실학의 시기를 지나 개화기를 맞아 자유의사가 공과 사의 갈림길에서 어느 것을 택하느냐에 따라 죄와 악으로 빠지게 되니 정심으로 개인적 사곡을 금해야 하는 자기 실천적 선의 규범을 강조하였다. 이는 인간이 신의 작용에 수동적으로 구속을 당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의지를 갖고 판단하여 선함을 스승삼아 고쳐야 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Dasan is one of the most brilliant scholars among those who inherited Seongho school’s Shinseo group. He developed a logical theory to bring the harmony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or Confucianism and Catholicism. The value and meaning of Jeong Yak-yong’s thought lie in the fact that his works, which were made during the time when there was a collision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sought a possibility of their conversion and opened a door to a larger spectrum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Born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ungsan tried to find a way to transform Joseon society based on the same context of thoughts suggested by Silhak scholars. In particular, during such turbulent years with the inflow of the western powers and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Jeungsan claimed a new message of salvation for people who were frustrated by the failure of Donghak. In this way, his thought and works can be matched with the spirit of Silsagusi(實事求是Seeking Evidence).
    In the times when the old Confucian feudal system was falling, Jeungsan claimed a theistic thought, which met Jeong Yak-yong’s Confucian theism that put Sangje as the one and only God. Based on the same context of Confucian theism of Joseon society, Jeungsan’s claim expanded the existing thoughts of Seo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istic spectrum.
    While Dasan tried to overcome systematic contradiction of funda mental Confucianism by getting away from the existing ways of Korean Confucianism based on the Confucian theism after he was influenced by the Western thought, Jeungsan claimed for the convert sion of thoughts of fundamental Confucianism and other thoughts in the theistic aspect.
    Dasan and Jeungsan share the common idea that the society should go back to the era of King Yao and Shun and let sacred humans rule the world in order to build an ideal world. But they are different in that Jeungsan’s claim includes the era of Three Emperors. In this contexts, Jengsan said that the origin of Dao began in the times of Fuxi and the human history started from the Emperor of Heaven as stated in Saryak and, after long years of history, his thought was established in the 19th century to save the world.
    Although Jeungsan developed his theistic position, he embraced the Li-Gi theory of Korean Confucianism. This is different from Dasan who rejected it. Jeungsan accepted Li-Gi theory from his view of Sangsaeng(mutual beneficence) and used it as an important basis of methods for mind cultivation for humans.
    Facing the times of enlightenment after the period of Silhak, Jeungsan claimed for a life of free will and emphasized the true mind that would guide their minds in the right way. According to Jeungsan, as people’s free will of choosing something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matters determine their fate, it is important to keep oneself in the right minded state, prevent from pursuing selfish and evil desire, and practice good deeds. This is not a passive action of humans who only act by the binding force of God, but this is to decide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free will, learn from the example of goodness, and correct themselves in the right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