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姜晋哲의 田柴科體制 이해와 그 의미-『高麗土地制度史硏究』를 중심으로- (Jin-chul Kang's Approach to Understanding Jeonsigwa(田柴科) Land System and Its Significanc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7.05
26P 미리보기
姜晋哲의 田柴科體制 이해와 그 의미-『高麗土地制度史硏究』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史叢(사총) / 91호 / 25 ~ 50페이지
    · 저자명 : 오치훈

    초록

    강진철(1917.7.6.~1991.3.20.)은 한국사회를 발전시킨 내적 요인을 구명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고려시대 토지제도에 관한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1980년에 출판된 『高麗土地制度史硏究』는 지금도 고려시대 토지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읽어보아야 하는 필독서가 되었다. 강진철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고 고려시대 경제사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高麗土地制度史硏究』를 중심으로 강진철의 연구를 재평가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설정하려고 한다.
    한국의 중세 사회인 고려시대에 모든 토지는 국왕의 소유이며 개인은 소유권이 없었다는 것이 일제 강점기 식민사학의 학설이었다. 강진철은 이를 비판하고 양반전을 중심으로 私有地라는 의미로서 私田이 있었음을 증명하였다. 民田도 사유지이기는 했지만 고려시대에는 民田을 公田이라고 불렀다. 또한 강진철은 촌락공동체 문제에 큰 관심을 가졌다. 농업 생산력이 발달하지 못한 사회에서는 공동 단위의 농업 경영이 필요하였고, 이에 따라 토지의 소유도 공동 단위로 형성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아직 소가족 단위의 개별 토지 소유가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고려 후기에 들어서 공동체가 해체되고 토지지배관계가 성장하면서 개별 소유가 가능해졌다. 전시과의 붕괴와 농장의 형성은 이 시기에 이루어진 것이다.
    현재의 연구 수준에서 강진철의 학설 중에는 비판을 받아 수정된 부분도 적지 않다. 그러나 公田과 私田의 구분 문제, 공동체와 농업 경영의 상관성은 여전히 유효한 연구 주제이다. 앞으로 이에 대해서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고 보다 많은 연구를 진행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Jin-chul Kang (1917.7.6.-1991.3.20.) devoted his life to researching the land system of Goryeo dynasty as a way of seeking an inherent momentum that drove development of the Korean society. His book ‘Goryeotojijedosayeongu (高麗士地制度史硏究: A Study on History of Land System in Goryeo Dynasty)' was published in 1980 and remains a must-read to understand the subject. In centenary commemoration of his birth, we reassess his research based on the said book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hoping to revitalize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Goryeo economy.
    The Goryeo dynasty corresponds to the Middle Age in Korean history, and the dominant view of th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as that all lands were owned by the king and individuals did not have ownership. Jin-chul Kang criticized this view, and demonstrated that there was privately held land called ‘sajeon (私田),' quoting from a literary work, ‘Yangbanjeon (兩班田)’. ‘Minjeon (民田)' was also privately held, but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was called ’gongjeon (公田).' Jin-chul Kang was also deeply interested in the issues of village community. In a society with limited agricultural productivity, community-wide agricultural management was necessary, and accordingly, land ownership was also made at a community level. In Goryeo dynasty, the timing was not ripe yet for small families to individually own land. However, by late Goryeo dynasty, communities were disassembled and as land controlling relations evolved, individual land ownership became available. The collapse of Jeonsigwa and emergence of the farm(農莊) took place during this time.
    Some of Jin-chul Kang's arguments have been criticized and revised. Still the distinction between ’gongjeon' and ’saje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and agricultural management continue to be relevant research topics, and further research need to be condu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史叢(사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