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태석의 <백마강 달밤에>와 <용호상박> 비교 연구 - 굿의 극적 활용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f Oh TaeSuk’s Baengmagang Dalbame and Yonghosangbak-With Emphasis on the Dramatic Use of Gut)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9.04
39P 미리보기
오태석의 &lt;백마강 달밤에&gt;와 &lt;용호상박&gt; 비교 연구 - 굿의 극적 활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29호 / 261 ~ 299페이지
    · 저자명 : 김숙경

    초록

    1970년대 이후 전통에 대한 관심은 굿을 모티프로 한 많은 극작품을 탄생시켰다. 굿은 고유성, 오락성, 예능성, 한국적 정신성 등으로 인해 한국인의 정체성을 표현하기에 매우 적합한 극적 모티프로 인식되어 왔다. 굿의 극적 활용은 차용하는 굿의 종류, 굿의 차용 방식, 극의 구조와의 관계, 극에서의 굿의 기능, 주제의식 등에 따라 작품마다 전혀 다른 양상을 창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태석의 <백마강 달밤에>와 <용호상박>에 나타난 굿의 극적 활용에 대한 비교․고찰을 통해 굿의 긍정적인 극적 활용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오태석은 전통의 현대화를 실험해 온 대표적인 극작가로서, 다수의 극작품에서 굿을 활용해 왔다. 그 중, <백마강 달밤에>와 <용호상박>은 굿의 극적 활용 방식에서 독자성과 효율성이 돋보이는 작품들이다.
    <백마강 달밤에>는 은산별신굿을 전면적으로 차용하고 있는 작품으로, 극의 전개가 굿의 준비 및 진행과정과 순차적으로 일치하여 전개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용호상박>은 강사리 범굿을 작품 안에서 반복적으로 차용하고 있으며, 반복되어서는 안되는 굿의 반복은 이 작품에서 주요한 극적 모티프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굿의 극적 기능에서 두 작품은 뚜렷한 대비를 보여준다. <백마강 달밤에>가 해결의 매개로서 굿이 기능하고 있는 반면, <용호상박>은 갈등을 일으키는 매개로서 굿이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신격화된 대상과 주제와의 연관성에서도 두 작품은 흥미로운 차이점을 보여준다. <백마강 달밤에>는 은산별신굿의 유래에 내포된 역사성을 배경으로 역사적 인물의 신격화를 통해 역사적이고 거시적인 사안으로 작품의 주제의식을 옮겨가고 있다. 이에 반해, <용호상박>은 호랑이라는 동물을 신격화시킴으로써 민간신앙의 원초성과 설화적 세계관이 작품 전체를 강하게 지배하고 있다.
    이와 같이 두 작품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굿의 극적 필연성과 굿의 현대적 수용을 획득하고 있다. 굿을 연극에 활용함에 있어 극적 필연성을 획득하고 현대적 수용을 성취하는 방법은 작품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예시들의 하나로서 <백마강 달밤에>와 <용호상박>의 비교 연구는 흥미로운 논의점을 제공해 준다.

    영어초록

    The rising interests in tradition after the 1970’s has given birth to many plays that were motived by Gut. Gut has been considered a very effective dramatic motif to express Korean identity due to its originality, amusing and entertaining character, and Korean mentality. The dramatic use of Gut takes completely different forms in each piece according to type of Gut, deployment of Gut, its relationship with the plot, its role in the play, and theme. This study compared and examined the dramatic use of Gut in Oh Taesuk’s Baengmagang Dalbame and Yonghosangbak to discuss the positive use of Gut. Oh is the leading playwright of Korea who has experimented with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and uses Gut in several plays he wrote. Above others, Baengmagang Dalbame and Yonghosangbak have been recognized for the originality and superiority of Gut’s dramatic use.
    Baengmagang Dalbame deploys Eunsan-Byeolsin-gut throughout the plot, which follows the preparation and progress of Gut in order. On the other hand, Yonghosangbak repetitively deploys Gangsari-Beom-gut several times in the plot. The repetition of Gut that must not repeat serves as an important dramatic motif in the piece. Also, the dramatic function of Gut is clearly contrasted in these two pieces. Gut functions as a medium of solution in Baengmagang Dalbame, whereas it functions as a medium of conflict in Yonghosangbak. Lastly, there is an interesting difference between the two pieces in terms of relativity between the deified thing and the theme. Baengmagang Dalbame deifies a historical character based on the origin of Eunsan- Byeolsin-gut to approach the theme from a historical and macro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Yonghosangbak deifies tiger to be strongly dominated by the root of folk religion and a mythical worldview.
    As discussed above, the two pieces acquires the dramatic inevitability of Gut in different ways. Each piece uses Gut differently to achieve dramatic inevitability. Baengmagang Dalbame and Yonghosangbak are significant examples of positive achievement of dramatic inevit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