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산강유역 청동기시대 중기 분묘 일고찰 -석관묘와 석관형 구조를 중심으로- (A Review of the Mid-Bronze Age Tombs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 with a focus on the structures of stone coffins and stone-lined coffins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1.10
24P 미리보기
영산강유역 청동기시대 중기 분묘 일고찰 -석관묘와 석관형 구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동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청동기학보 / 29호 / 106 ~ 129페이지
    · 저자명 : 김규정

    초록

    영산강유역 청동기시대 분묘는 지석묘로 대표되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그 외청동기시대 분묘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지상에 노출되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지석묘의 표지적 특성에 따른 것으로 다른 형태의 분묘는 지하에 위치하여 발굴조사를 통해서만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인지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영산강유역 지석묘는 전기부터 축조되며, 주로 석곽형 구조를 보이지만 최근 석관묘와 유사한 석관형 구조가 많이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영산강유역에서 지석묘 하부구조로 석관형 구조가 축조되기시작한 것은 송국리문화가 유입되는 시기와 맞물린다.
    영산강유역은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여러 지역으로부터 다양한 문화가 유입되는데 중기에는 금강ㆍ 만경강유역의 송국리문화가 호남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영산강유역도 송국리문화의 중심분포권에 포함된다. 분묘 또한 송국리형묘제인 석관묘, 석개토광묘, 옹관묘가 축조되기 시작하지만 지석묘에 비해 활발하게 축조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영산강유역 청동기시대 중기의 문화상은 주거지는 송국리문화, 분묘는 지석묘문화를 특징으로 한다. 지석묘의 경우 상징성이 강한 上石은 큰 변화없이 유지되면서 하부구조는 송국리문화의 영향으로 石棺이 적극적으로 채용되기 시작한다.
    영산강유역은 지석묘라는 전통 묘제를 기반으로 상당한 결속력을 가졌던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강한 유대감을 바탕으로 영산강유역 지석묘사회라는 독자적 문화권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전통은 점토대토기문화가 유입된 이후까지도 한동안 지속되는데 이후 철기문화가 유입되면서 전통적 지석묘사회는 쇠퇴하고 옹관묘라는 새로운 매장관습을 받아 들여 영산강유역만의 독특한 옹관고분사회로 발전하는 배경이 된다.

    영어초록

    Researches on the Bronze Age tombs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represented mostly by dolmen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so far while other types of the same age tombs in the area seem to have seldom been studied. This is due to the attention-getting characteristics of the dolmens exposed to the ground and visible with the naked eyes, which caused a difference in awareness since other types of tombs are hidden underground and can only be identified through excavation.
    The dolmens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started to have been constructed from the former age on with mainly a stone-lined structure, but it is noteworthy that the structures of many stone-lined tombs similar to those of the stone coffins have been found recently.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the construction time of stone-lined tombs as substructures of dolmens is overlapped with the period when Songguk-ri culture was introduced.
    Starting from the early Bronze Age, various cultures originated from lots of other regions flowed into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During the mid age, Songguk-ri culture of the Geumgang and Mangyeonggang River basins spread throughout Honam, having prompted by thus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to be included in the central distribution area of Songguk-ri culture.
    Songguk-ri-type tombs such as stone coffins, pit tombs with stone covers and jar coffins also began to be built, although not in so an active way as compared to dolmens. It may be thus said that the cultural aspect of the Middle Bronze Age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can be characterized by Songguk-ri culture in the residential area and by dolmen culture in the tombs. In case of dolmen burials, while the strongly symbolic cap stone remained unchanged, stone coffin began to be actively employed as a substructure under the influence of Songguk-ri culture.
    It can be seen that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showed off a fairly strong solidarity based on the traditional burial system called dolmen burials, forming by thus an independent cultural sphere coined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dolmen burial society thanks to its strong bond with each other. Such tradition continued for a while even after the round clay rim pottery culture was introduced. Later, with influx of the ironware culture, the traditional dolmen burial society declined, and a new burial custom called jar burial was adopted, which became the background for developing into an ancient jar burial society unique to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청동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