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홍립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 양상 연구 - <책중일록>과 <강로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terary Imagery about Kang Honglib - Focusing on and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1.08
28P 미리보기
강홍립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 양상 연구 - &lt;책중일록&gt;과 &lt;강로전&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58호 / 87 ~ 114페이지
    · 저자명 : 박양리

    초록

    이 글의 관심은 역사적 실존인물인 강홍립이 이민환의 <책중일록>과 권칙의 <강로전>에서 어떻게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었는가에 있다.
    <책중일록>에서 강홍립은 대내외적인 불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병사를 잘 이끌고자 노력한 인물이며 동시에 패배한 뒤에도 체면과 염치를 지키며 화의를 택한 인물이었다. 이에 반해 <강로전>에서 그리는 강홍립은 광해군의 밀지를 핑계 삼아서 병사들을 사지로 몰아넣은 교활한 책략가에 비굴하게도 오랑캐에게 무릎을 꿇은 항적이었다. 후금에서의 포로생활 중의 행적에 대해서도 두 작품은 다르게 이야기 하고 있다. <책중일록>의 강홍립은 나라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한 외교사절이었는데 반해 <강로전>에서 강홍립은 부귀영화를 위해 나라를 판 변절자로 그려진다.
    이러한 전혀 다른 두 모습의 강홍립이 그려진 것은 바로 두 작가의 입장차이 때문이다. 오랑캐에 항복한 인물로 관직 생활에 제대로 나아갈 수 없었던 이민환은 자신들은 항복한 것이 아니라 화의한 것이며 절개를 지켰다고 그 실상을 드러내고자 했다. 그리하여 자신들을 대변할 수 있는 인물인 원수 강홍립을 내세웠던 것이고 효과적인 서술을 위해 사실지향적인 일록의 형태를 통해 객관적인 태도를 유지하고자 했다. 권칙은 도망친 자로서의 자신의 도덕적 위상을 위해 그와 반대되는 포로가 된 장수들을 대표하는 강홍립을 비난할 필요가 있었다. 더구나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는 강홍립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결국 권칙은 포폄의 의도를 명확히 하여 강홍립을 부정적으로 그려내고 평가하기 위해 전을 창작했던 것이다. 실재했던 역사가 어떻게 작가 혹은 시대의 이념에 따라 재구성되어 문학으로 탄생하는가, 그 생생한 모습을 <책중일록>과 <강로전>은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literary imagery of Kang Honglib, an existential person from history depicted in <Chaekjoong-illok> by Lee Minhwan and <Kanglo-jeon> by Kwon Chik.
    In <Chaekjoong-illok>, he was depicted as an experience person who tried to arrange his troop despite the unfavorable situations, and at the same time, who chose to negotiate for peace without losing face after defeat. Unlikely, In <Kanglo-jeon>, he was depicted as a sneaky tactician who drove his men into death by a reason of secret orders from Gwanghaegun and a obsequious person who kneeled down to barbarians. Also two books describe differently of the time he was captived in Hukeum. In <Chaekjoong-illok>, he was a diplomatic envoy who used his ability for the sake of country, on the other hand, <Kanglo-jeon> depicted his as an apostate who betrayed his country for his own wealth and honor.
    Such opposed descriptions on one person is because of the different points of view of the authors. Lee Minhwan hardly entered government service because he was one of the people who surrendered to barbarians thus he wanted to explain that they are not surrenders but negotiated for peace and kept their loyalty through the <Chaekjoong-illok>. So, he supported Kang Honglib who can represent his position, and tried to show subjective attitude through the writing form of daily record for greater effect. Besides, the social atmosphere in that era was against Kang. Honglib As a result, Chik Kwon wrote the <Kanglo-jeon> to draw negative portrait of Kang Honglib with an intention of criticism. The <Chaekjoong-illok> and the <Kanglo-jeon> shows how the real history can be restructured and rewritten by the ideology of author or the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