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국주의에 대한 이중적 시선 -최인훈의 「두만강」과 「크리스마스 캐럴」을 중심으로 (A double-edged view of imperialism -Focusing on Choi In-hoon's "Duman River" and "Christmas Caro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0.04
30P 미리보기
제국주의에 대한 이중적 시선 -최인훈의 「두만강」과 「크리스마스 캐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17호 / 269 ~ 298페이지
    · 저자명 : 박영신

    초록

    최인훈 문학에는 한국 근대의 심연에 있는 제국주의 식민성 식민지성은 정치경제학적으로 제국주의/자본주의에 의해 강대국(서구독점자본)이 약소국을 지배하는 상태를 말한다. 김성국, 「식민지성과 한국 사회이론」, 『사회와 이론』 1, 한국사회이론학회, 2002, 138면.
    이 자리 잡고 있다. 최인훈 작품을 분석할 때 특히 주체로서 의식의 확장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역사적, 담론적, 주제적 측면으로 광범위한 연구가 이어져 왔으나 주체성을 총괄하는 연구는 다소 부족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그가 식민성의 문제를 일관적으로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두만강」에서 일제 식민 치하 속 그는 일본에 대한 비판적 의식과 무의식적 수용의 양면성이 작동하고 있다. 실제 작품 속에서 등장하는 H읍은 회령에서의 유년시절을 보낸 최인훈의 삶과 대응한다. ‘유년’이었기에 일본인들과의 공감과 교감은 동물적 친밀감으로 이어졌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에게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앞서 언급 했 듯 병참기지로 자리 잡고 있었던 H읍에서 조선인들은 의식적 거부가 있지만 점차 무뎌지며 동화되어버리는 것을 작품을 통해 알 수 있다.
    반면 「크리스마스 캐럴」에서는 맹목적인 서구의식 수용에 대한 강렬한 거부감과 그것을 풍자적으로 비판하는 양상을 보인다. 앞서 살펴 본 「두만강」의 주체적 의식과는 다르게 당시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과 당대를 살아가는 개인의 문제를 인식하고, 자아 주체의 정립을 자각하는 경향의 소설이 나타난다. 즉 근대의 주체적 기표는 무엇이고 더 나아가 그 중심은 누구냐는 초점에 맞춰진 작품이다. 사실상 「크리스마스 캐럴」은 의식의 흐름 기법이라고 할 만큼 부자간 논리 없는 대화나 환상과 현실이 뒤섞인 실험적 부분들이 많아 대체적으로 구성 방식이나 언어 중심 연구로 진행되어 왔다. 독자적 연구도 적을뿐더러 주체 의식을 중심으로 한 비교 연구 역시 광범위하지 않은 실정이다.
    특기할 점은 「두만강」에서는 이미 완벽한 지배를 받으며 반감이 아닌 흡수된 식민 치하의 생활을 자신의 일상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서구 의식을 이미 받아들여 우리 것으로 변용·굴절하기 시작한 상황에서도 최인훈은 그에 대한 강력한 반감의식을 내보인다. 즉 이 두 작품을 통해 그의 문학에 내재되어 있는 양극단의 주체적 모순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는 선행연구의 문제의식을 일정정도 수용하되, 최인훈의 무의식에서 발현된 일본에 대한 수긍으로 나타나는 「두만강」과 문화적 식민성이 될 수 있다는 의식 하에 서구 제국주의를 비판하는 「크리스마스 캐럴」을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최인훈의 모순된 주체성을 밝히는 것은 논의의 다양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것은 그의 인식이 현실을 자각하기 이전과 이후로 나뉨으로써 주체성을 정립하기까지의 흐름을 면밀히 살필 수 있으며 기존 논의의 한계를 극복하는 일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In Choi In-hoon's literature, the coloniality of imperialism lies in the abyss of modern Korea. When analyzing Choi In-hoon's work, although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expand consciousness as a subject,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extensively researched in terms of historical, discourse, and themes,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ubjectivity.
    What we should note here is that he does not consistently criticize the issue of coloniality. Under the colonial rule of Japanese colonialism in the Tuman River, he is working on the duality of critical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 acceptance of Japan. H-eup, which appears in the actual work, corresponds to the life of Choi In-hoon, who spent his childhood in Hoeryeong. Since it was 'childhood', empathy and sympathy with the Japanese would have led to animal intimacy. That doesn't mean they have a positive attitude. As mentioned earlier, in H-eup, which was established as a logistical base, Koreans have a conscious rejection but gradually become dull and assimilate through works.
    On the other hand, "Christmas Carol" shows a strong refusal to accept blind Western consciousness and satirical criticism of it. Unlike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the Tuman River, which we saw earlier, novels with a tendency to become aware of the problem of the society at that time and the problems of the individual living at the time and self-awareness appear. In other words, it is a work focused on what is the main subject of modernity and who is at the center of it. In fact, "Christmas Carol" is a conscious flow technique, and there are many experiments in which there is no logic between rich people and a mixture of fantasy and reality. In addition, there are few independent studies, and comparative studies centering on subject consciousness are also not extensive.
    What is remarkable is that in the Tuman River, you are already completely dominated and accept your life under the absorbed colonization, not antagonism, as your daily life. However, even in the situation where he has already accepted the Western consciousness and began to transform and refract as ours, Choi In-hoon shows a strong antipathy toward him. That is, through these two works, one can discover the subjective contradiction inherent in his literature.
    Through this, this paper accepts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of prior research to a certain extent, but analyzes the "Tuman River," which is expressed as an appreciation for Japan expressed by Choi In-hoon's unconsciousness, and the "Christmas Carol," which criticizes Western imperialism in the sense that it can become cultural coloniality. something to do. Through this, revealing Choi's contradictory subjectivity can expand the diversity of discussion. In addition, this will be a work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discussion and closely examine the flow of establishing subjectivity by dividing his perception before and after realizing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