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俛門承敎錄』 연구 -江右地域 俛宇學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MyeonmoonSeunggyorok』-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Myeonwoo cademic Circle in the Gangwoo Region-)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4.12
50P 미리보기
『俛門承敎錄』 연구 -江右地域 俛宇學團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82호 / 333 ~ 382페이지
    · 저자명 : 주강수

    초록

    본고는 19-20세기 江右地域에 분포된 俛宇學團의 존재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俛門承敎錄』에 기록된 771명의 문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강우 지역은 인조반정 이후 한동안 학문적 침체기를 겪었으나, 19세기에 이르러 성재학단·한주학단·노사학단 등 여러 학문 공동체가 형성되며 학문적 부흥을 맞이했다. 특히 한주학단을 계승한 면우학단은 강우 지역을 기반으로 활발한 학문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더 나아가 당대 지식인으로서 현실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면우학단이 형성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면우의 학문적 성향과 학자적 위상, 활발한 교유 활동, 그리고 유학자로서의 현실 인식이 크게 작용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많은 문인들이 그의 문하에 모이게 되었다. 특히 면우는 퇴계 학맥에 속하면서도 지역 선현인 남명을 존숭하여 남명학의 복원과 규명에 힘썼다. 이러한 노력은 강우 지역 남인 계열의 남명 연원가들이 그의 문하에 입문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면문승교록』은 1974년 삭녕 최씨 집안의 주도로 연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문인들은 나이순으로 기록되었으며, 자·본관성씨·거주지·생년·급문년·수학장소·몰년·가족관계·벼슬 등 총 9가지 항목에 걸쳐 개인정보가 작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면문승교록』에 기록된 본관성씨·거주지·입문시기·생년분포를 바탕으로 면우학단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면우학단은 강우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였으며, 그중에서도 단성, 거창, 삼가, 진주 순으로 문인의 수가 많았다. 단성과 삼가 지역에서 문인의 수가 많은 현상은 박치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거창 지역은 면우의 다전 거주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진주의 경우, 진양 하씨와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기적으로는 면우가 다전에 거주했던 시기에 문인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면우학단은 19-20세기 조선 유학의 사상사적 발전을 도모했을 뿐만 아니라, 유림 독립운동을 주도한 점에서 한국 유학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면우학’의 정립 가능성을 모색하고, 공백으로 남아있는 20세기 유학사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esence of the Myeonwoo Hakdan (俛宇學團) in the Gangwoo (江右) region during the 19th and 20th centuries. For this purpos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data from 771 scholars recorded in the Myeonmun Seunggyorok (俛門承敎錄).
    The Gangwoo region experienced a period of academic stagnation following the Injo Restoration. However, by the 19th century, it witnessed a revival of scholarly activity with the formation of several academic communities, including the Seongjae Hakdan, Hanjoo Hakdan, and Nosa Hakdan. Among these, the Myeonwoo Hakdan, which inherited the legacy of the Hanjoo Hakdan, engaged in vibrant scholarly activities in the Gangwoo region and further actively addressed contemporary social issues as intellectual leaders of the time.
    The formation of the Myeonwoo Hakdan was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Myeonwoo's academic orientation, his status as a respected scholar, his extensive social network, and his pragmatic awareness as a Confucian thinker. These elements attracted numerous scholars to his tutelage. Notably, while Myeonwoo belonged to the Toegye school of thought, he deeply revered the local scholar Nammyung and dedicated himself to restoring and advancing Nammyung studies. This effor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attracting members of the Nammyung lineage within the Namin faction in the Gangwoo region to his academic circle.
    The Myeonmun Seunggyorok was published in 1974 under the initiative of the Saknyeong Choi family. Scholars were recorded in chronological order of age, with personal information documented across nine categories: courtesy name, family origin (bon-gwan), place of residence, year of birth, year of joining the school, place of study, year of death, familial relationships, and official positions.
    This study conducted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yeonwoo Hakdan based on data from the Myeonmun Seunggyorok, focusing on family origin, place of residence, time of entry, and birth year distribu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yeonwoo Hakdan was primarily concentrated in the Gangwoo region, with the largest number of scholars hailing from Danseong, Geochang, Samga, and Jinju, in that order. The high number of scholars from Danseong and Samga appears to be linked to Park Chi-bok, while Geochang’s prominence is closely tied to Myeonwoo’s residence in Dajeon. In the case of Jinju, a connection with the Jin Yang Ha clan was identified. Furthermore, the number of scholars increased sharply during the period when Myeonwoo resided in Dajeon.
    The Myeonwoo Hakdan not only contributed to the ideological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but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onfucian independence movement, thereby holding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concept of "Myeonwoo Studies" will be established, contributing to the relatively underexplored field of 20th-century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