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낙동강 상류지역 세장방형 석실묘를 통한 지역집단간 교류 연구 (A regional study of polity interactions through the long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in the Upper Nakdong River basi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7.08
35P 미리보기
낙동강 상류지역 세장방형 석실묘를 통한 지역집단간 교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고고학 / 42호 / 35 ~ 69페이지
    · 저자명 : 김옥순

    초록

    낙동강 상류지역의 세장방형 석실묘는 5세기 영남지역의 일반적인 석실묘 형태와는 뚜렷하게 구별되며, 일정한 공간성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에서 석실묘는 5세기 1/4분기로영남지역에서는 가장 빨리 출현하고 있으며, 중엽에는 세장방형 석실묘 문화권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이 독특한 석실묘문화는 낙동강을 따라 형성된 문화와 소백산맥 이북의 백제 및 고구려와의 교류에 의해서 성립되었다. 영남지역보다 빨리 석실묘가 출현한 백제나 고구려로부터석실묘 장법을 채택한 것은 목곽묘 단계였으며, 석실묘의 일부 요소는 이 목곽묘에서 계승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석실묘가 상류지역 모든 집단의 전형적인 묘제로 자리잡은 것은 아니다. 상주헌신동-성동리 지역집단을 제외하고는 고총분묘 축조 집단의 일부 계층에서 한정적으로수용되고 있다. 각 지역집단 엘리트들은 이 석실묘 형식을 지역집단간에 직접적이거나 수동적인 교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정보교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수용하면서, 폭넓은 네트워크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낙동강 상류지역 5세기 세장방형 석실묘 분포권은 중심지와 주변지의 위계적인단선적ㆍ일방적 전파가 아니라 인접한 지역집단간의 문화적 교류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그리고 이 문화권 형성은 사회적 맥락과 관련된 지역집단간의 공통적인 내ㆍ외적 요인이 반영된 것이다.

    영어초록

    The long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of the Upper Nakdong River basin are unique in their plans and shap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plans and shapes of other stone chamber tombs. They also appeared in the early half of the 5th century in Youngnam Reg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earliest example in the region. In the mid 5th century the cultural sphere of the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began to be formed.
    These typical tombs are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external cultural interactions of the polities in the Upper Nakdong River basin with Baekje Kingdom and Goguryeo Kingdom. It was the phase of wooden chamber tombs in Youngnam Region that witnessed the adoption of the long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and their mortuary practices. So some elements of the long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had handed down from previous traditions of wooden chamber tombs.
    By the way this long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had not been adopted by all social groups in the Upper Nakdong River basin generally. They had been adopted by only limited social groups among the high mound tomb builders in the region. That is, by way of active interactions including information exchanges, the elites of the region adopted these tombs actively and selectively. They also established a wide interaction networks through such processes.
    Therefore the cultural sphere of the long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dated to the 5th century in the Upper Nakdong River basin are not thought to be the results of the unilinear unequal center-peripheral relationship, but it is the result of the active cultural interactions with neighbouring regional groups. Some of commo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mong the neighbouring regional polities, which were related to social contexts, are considered to have played influential roles in the formation of the cultural sp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2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