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산강유역 고분연구의 검토 -고분의 개념, 축조방법, 변천을 중심으로- (Examination of the Studies on the Mounded Tomb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Focussing on the concepts, construction methods, and changes of the mounded tomb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9.10
22P 미리보기
영산강유역 고분연구의 검토 -고분의 개념, 축조방법, 변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33권 / 107 ~ 128페이지
    · 저자명 : 최성락

    초록

    최근 호남지역에서 분구묘가 고분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필자는 분구묘라는 용어가 고분을 대신하는 적절한 용어로 보지 않는다. 분구묘는 그 개념에서도 문제가 있지만 호남지역의 고분을 모두 분구묘로 가정한다면 그로 인하여 고분의 발생과 변천과정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고분은 사회의 계층화가 뚜렷이 나타나는 시기, 즉 삼국시대의 무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고, 고분의 실질적인 명칭은 매장주체부를 근거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영산강유역 고분의 변천을 살펴보면, 처음 등장한 고분은 3세기 말경의 목관고분과 옹관고분이다. 영산강 중·하류에서는 옹관고분이 주로 분포하지만 그 나머지 지역에서는 목관고분이 지속적으로 축조되었다. 그리고 5세기 말경에 석실분이 출현하면서 전방후원형 고분도 나타나지만 6세기 중엽부터는 백제식 석실분으로 변화되었다.
    영산강유역 고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양한 주구를 가지고 있다. 특히 제형(사다리꼴)과 전방후원형은 다른 지역에서 찾아볼 수 없는 형태이다. 다음은 고분으로 발전되면서 수평적인 확장과 수직적인 확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영산강 중하류지역에 한정되는 옹관고분에 비하여 목관고분의 분포가 훨씬 넓다. 또한 한 봉분에 여러 매장시설을 설치하거나 매장시설이 지상식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독특한 전통은 석실분이 등장한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따라서 분구묘가 영산강유역 고분의 특징을 대변하거나 키워드로 볼 수 없으며 나주 복암리 3호분과 같은 고분이 이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고분연구가 어느 특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는 이를 통해 과거 문화의 복원에 치중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Recently in the Honnam region, there is a tendency to use Bungumyo (tombs with mound) instead of Gobun (mounded tombs). I believe Bungumyo is an inappropriate substitution for Gobun. Bungumyo itself is not a well defined concept, moreover, assuming all the tombs in the Honnam region as Bungumyo is not sufficient enough to explain the occurrence and changes made on the mounded tombs. Gobun is a comprehensive word that includes mounded tombs built in Three Kingdoms Period, when social classification was established. The actual names for the mounded tombs should be base on the subject buried.
    Looking into the changes of mounded tombs in Yeongsan River basin, wooden-coffin tombs and Jar-coffin tombs appeared in the end of 3rd century. Jar-coffin tombs were limited to the mid and downstream of Yeongsan River, but in rest of the region, wooden-coffin tombs were widely distributed. By the end of 5th century, stone-chamber tombs as well as keyhole shaped tombs appeared, but they went through transition to Baekje style stone-chamber tombs after the mid 6th century.
    The mounded tomb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y have various shapes of ditch around the tombs. Especially, trapezoid shape and keyhole shape are only found in this region. Development of tombs brought horizontal and perpendicular expansions. Wooden-coffin tombs were more widely distributed while Jar-coffin tombs are limited to the mid and downstream of Yeongsan River. Mass burials in a single mound with a ground level burial also appeared.
    These characteristics continued after the appearance of stone-chambers. Therefore, Bungumyo is not the representation or a keyword appropriate for mounded tomb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but the tombs such as Bokamri 3rd tomb is the symbol of that. I believe that the studies of mounded tombs is about reconstructing the past culture rather than trying to expose single specific characterist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