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호남성 냉수강나의(冷水江儺儀)의 문화 혼종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Hybridity of the Nuo Ceremony in Lengshuijiang, Hunan, Chin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9.06
34P 미리보기
중국 호남성 냉수강나의(冷水江儺儀)의 문화 혼종성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53권 / 265 ~ 298페이지
    · 저자명 : 판싱

    초록

    본 논문은 중국 호남성(湖南省) 냉수강(冷水江) 지역의 나의(儺儀)에 나타나는 문화 혼종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문헌연구, 현지조사, 심층면담 등세 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우선 로버트 레드필드(Robert Redfield, 1897∼1958)문화이원프레임이론에 입각하여 나의가 역사와 사회맥락에서 부딪히는 곤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논문은 민간문화로서의 무(巫)와 엘리트문화로서의 도(道)를 분리시키는 기존 연구경향과 차별화하여 무와 도가 결합된 문화특성으로 나의의 혼종성을 해독하였다. 그리고 현지조사를 통해 나의의 혼종문화에서 비춰지는 엘리트문화와 민간문화의 모순점과 타협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냉수강나의는 특정 기간에 전통종교와 민간무속이 합쳐져서 혼종적 문화특성을 지니게되었으며, 또한 정통적인 국가 상층문화의 형태도 아니고 완전한 하층 민간문화의 형태도 아닌 제3의문화로 재구조화하였음을 발견하였다. 냉수강나의의 문화 혼종성은 지배계급의 엘리트문화와 농민계급의 민간문화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렇게 생성된 문화 혼종성은 엘리트문화의 동질화의힘과 민간문화의 현지화의 능력 사이의 관계에서 나타난다고 본다. 본 연구는 무와 도의 특성을 겸비한냉수강나의를 통해 거시적 관점에서 지배문화와 민간문화라는 측면에서 중국문화가 지닌 문화이원프레임 구조에 대해 고찰하였고 미시적 관점에서 냉수강 지역 나의가 지닌 도와 무의 혼합현상을 통해 동질화와 현지화라는 문화 혼종성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ith the Nuo ceremony in Lengshuijiang, Hunan, China as the subject, discusses its cultural hybridity, shaped by dynamic interaction between elite culture of the ruling class and folk culture of the working class. The author argues that the resulting hybridity is formed through homogenizing force of the elite culture and localizing capability of the folk culture.
    To carry out the research, the author adopts three methodologies: fieldwork, in-depth interview and literature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dual cultural framework, the author observes the dilemma faced by the Nuo ceremony in a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Unlike the prevailing tendency of separating wu (shamanism) from dao (Taoism), by former researches this paper integrates wu and dao, thereby interpreting the hybrid nature of the Nuo ceremony. Through fieldwork, the author studies the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the high and folk cultures as projected in the cultural hybridity of the Nuo ceremony.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Lengshuijiang Nuo ceremony is a hybrid culture stemming from the combination of orthodox religion and folk shamanism during a specific historical period. It is neither a pure high culture of the state nor a pure folk culture. Rather, it is a reconstructed “third culture”.
    On a macro level, the author observes China’s dual cultural framework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the elite culture and folk culture. On a micro level, the authors reveals,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wu and dao elements in the Lengshuijiang Nuo ceremony, the cultural hybridity as a result of homogenization and localization, which Abstract 298 제53호i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