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원상강례(講院上講禮)’의 음악적 연구 - 조계종을 중심으로 - (A musical study on Kangwon Sangkangrye - Focusing on the perfoming style of Chogye Order -)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08
46P 미리보기
‘강원상강례(講院上講禮)’의 음악적 연구 - 조계종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37호 / 391 ~ 436페이지
    · 저자명 : 차형석

    초록

    이 글은 아직 음악학계에서 다루어진 바 없는 ‘강원상강례’를 음악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석문의범』의 강원상강례와 현행 강원상강례 사이의 유사성과 차별성에 대해 비교․검토하였고, 사료의 지문에서 발견된 소종 연주 방식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여 현행 의식과는 어떤 음악적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장 채록의 음원자료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강원상강례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석문의범』의 강원상강례와 현행 의식을 비교․검토한 결과, 사료와 근접한 유사성을 보이는 강원상강례는 제2유형이며, 사료의 지문에서 발견된 소종 연주 방식은 운문사와 청암사 상강례에 일부 전승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강원상강례의 음악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1유형과 제2유형의 음역은 완전8도를 벗어나지 않았다. 제1유형의 선율구조는 내드름을 들어내고, 종지선율은 do'에서 순차 하행하여 mi에서 la로 종지하였으며, 악조는 대부분 메나리토리였으나 일부 강원에서는 sol에서 la로 상행하는 선율이 종종 발견되어 전형적인 민요의 메나리토리와는 달랐다. 가창방식은 주로 전통예불에서 볼 수 있는 선․후창방식이었고, 대부분 일자일이음형과 일자수음형이며, 음악적 형식은 악곡별로 다양하게 짜여 있다. 다만 해인사 상강례는 의식절차와 가창방식에서 다른 여느 강원과 차이를 보였는데, 가창방식은 다른 사례와 같이 전통적인 선․후창방식이었으나 선창자가 첫 句를 생략하여 부르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추가된 한글<반야심경>은 내드름을 숙여내고, 독송은 3음 위주의 일자일음형으로 제창했다.
    제2유형의 선율구조는 내드름을 들어내고, 종지선율은 제1유형과 다르지 않았다. <심향일주∼>의 악조는 전형적인 메나리토리는 아니었으나 정례와 발원은 민요의 메나리토리와 같았다. 가창방식은 독창과 제창으로 이루어졌으며, 게송의 가사붙임새는 일자일이음형이고, 정례와 발원은 일자일이음형+일자수음형이다. 정례의 음악적 형식은 A-B-C와 A-C이고, 발원은 일정한 주기성을 갖추지 않았으나 종지선율을 동일하게 반복함으로서 통일감과 형식감을 느끼게 한다.

    영어초록

    This is the first study in Musicology that discusses the features of Kangwon Sangkangrye(the pre-lecture ritual in Buddhism). In this thesis, I reviewed and compared the similarity and uniqueness between Kangwon Sangkangrye in 『Seokmunuibom』 and the one being performed these days. The musical 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shown in the historical record and the one in contemporary ritual was illustrated here based on the findings derived from the anlaysis on its bell(小鐘) performance. The analysis made upon musical sources recorded on-sit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Kangwon Sangkangrye. Following is a brief summary of this study.
    The review and comparison between Kangwon Sangkangrae in 『Seokmunuibom』 and the one being performed these days showed that the second type,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first type, was closer to that of the historical record. The performers at Unmunsa Temple and Chungamsa Temple seemed to be following the tradition bell(小鐘) performance style which was found in the text of the historical record. Through the analysis on Kangwon Sangkangrae, I found that it has music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The vocal range of type 1 and type 2 was mostly performed within Minor 7th and didn’t exceed the perfect 8th. The melodic structure of type 1 starts with do'-la of naedeureum and ended with the melody which downscaled from do’ and finalized from mi to la. Usually the mode was in menari-tori but at some lecture halls a few cases found to be upscaled from sol to la which differentiates it from the typical menari-tori of folk songs. Like the typical way of traditional rites, the singing was divided into two parts: the leading call and the following choral response. Most were sung to be one syllable on one or two tones or one syllable lasting for several tones and the musical forms were varied by musical pieces. Meantime, Sangkangrae at Haeinsa Temple was differed from that of the other temples in terms of ritual procedure and vocal style. It added Korean version of <Prajna Paramitra> and the lead vocal skipped the first phrase of the Sasul.
    The melodic structure of Type 2 started with do'-la of naedeureum and was finalized as the same way of Type 1. The mode of <Shimhyangiljuyonghugong> was not the same as typical menari-tori but the Jeongrye(prostration) and Balweon(a great vow) were identical to the menari-tori of folk songs. The singing was done in two forms, solo and unison, and the lyric-attachment of Gesong was one syllable for one or two tones and that of Jeongrye and Balweon were one syllable for one or two tones + one syllable for several tones. The musical form of Jeongrye is A-B-C and A-C. Balweon didn’t display a certain periodicity but still maintained sense of unity and formality through repetition of the finalizing melo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