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시기 시에 나타난 ‘두만강’의 위상과 경계 인식 (Status of ‘Tuman River’ and Perception of Boundary on the Poetry of the Colonial Peri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04
26P 미리보기
식민지시기 시에 나타난 ‘두만강’의 위상과 경계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56호 / 153 ~ 178페이지
    · 저자명 : 정영효

    초록

    이 글은 식민지시기 두만강이 가진 성격에 접근하면서 노자영, 김기림, 김조규, 이용악과 같은 당시 시인들이 두만강을 매개로 조선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살펴본다. 그들은 여행을 기반으로 두만강을 바라보는 동안 자신들의 입장과 시각에 따라 두만강을 대상화하면서 체험이 가지는 구체성을 통해 두만강을 해석했다.
    두만강은 조선이 오랫동안 지켜온 중국과의 경계라는 의미와 백두산, 동해와 연결된 신성한 자연물이라는 성격이 합쳐져 조선인들에게 전유되었다. 하지만 식민지시기 두만강은 제국의 전략적 지역이자 제국의 영향력 아래 놓인 채 만주와 식민지 조선을 구분하는 국경으로 변했다. 특히, 만주사변과 만주국 건국 이후에는 제국 일본의 지배력이 간도에 본격적으로 미치기 시작했으며 이런 변화들은 조선인이 두만강을 인식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쳤다.
    당시 국토는 민족의 정체성을 표상하는 대표적인 기제였고 국경으로서의 두만강은 복잡한 내외부의 정세 속에서 국토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곳이었다. 기존부터 이어져온 인식이 두만강의 존재를 새기게 하는 요소였다면, 식민지 상황은 두만강에 대한 인식에 균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런 충돌이 두만강에 대한 시인들의 시각을 날카롭게 만들었다. 역사․지리적인 요소를 현실에 투사하면서 그들은 두만강이 가진 의미와 가치를 해석했다. 여행 목적과 체험의 양상은 조금씩 달랐지만 그들은 ‘두만강’이라는 공동의 기억을 토대로 ‘조선/민족’을 작품에 반영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poets such as No Zayoung, Kim Kirim, Kim Jogyu, and Lee Yongak during the colonial perio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through the Tumen River. They interpreted the Tuman River through the specificity of experience while targeting the Tumen River according to its position and perspective while looking at the Tumen River based on the trip.
    The Tumen River has been appropriated to the Chosun people because of its long-standing boundaries with China and the nature of Baekdu Mountain and the sacred natural products connected with the East Sea. However,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Tumen River changed into a border separating Manchuria and colonized Chosun, under the influence of Imperial Japan and the strategic region of the empire. Especially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anchuguo, the dominance of the Imperial Japan began to spread to Gando, and these changes had a great impact on the recognition of the Tuman River by Koreans.
    At the colonial period, the country was a representative mechanism representing the national identity, and the Tumen River as a border was a place to evoke the importance of the country in the complex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The colonial situation caused a crack in the perception of the Tumen River. This collision sharpened the view of the Tumen River. While projecting historical and geographical elements to reality, poets interpreted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Tumen River. The purpose of travel and experiences were slightly different, but they reflected ‘Chosun / Nation’ in their works based on the common memory of 'Tuman Ri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