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감영도시 대구와 낙동강 중류지역의 역사공간적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Daegu with a Provincial Office and the Midstream Part of the Nakdong River as Historical Spaces in the 18th Centu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1.12
30P 미리보기
18세기 감영도시 대구와 낙동강 중류지역의 역사공간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85호 / 43 ~ 72페이지
    · 저자명 : 김정운

    초록

    본 논문은 18세기 대구의 역사공간적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조선후기에 대구는 경상도의 중심이었다. 두 측면에서 그렇다. 하나는 행정의 중심이라는 제도적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문화적인 측면이다. 대구는 1601년 경상도 감영이 자리한 이후 관찰사가 거주하는 행정의 중심이었다. 이 때문에 경상도 전지역에서 사람과 물산이 대구로 모였다. 대구는 사람과 물산이 모이는 곳이고,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문화가 만들어졌다.
    다른 하나는 문화적 측면이다. 낙동강은 여러 물줄기가 합해서 영남의 중앙을 관통한다. 낙동강은 영남의 상징이며, ‘영남문화’로 일컬어지는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였다. 이 ‘영남문화’는 다시 몇몇의 문화권역을 형성하면서 다채로운 문화를 포함하였다. 대구는 낙동강의 중류에 위치하면서 경상도 전역의 문화가 만나는 지점에 있다. 조선후기 대구는 영남의 학문적·문화적 특징이 모두 수렴되는 곳이었다.
    이런 배경에서 본고는 18세기 대구의 모습을 구성원의 일상에서 확인하였다. 경상도 관찰사로 대구에서 지냈던 조재호(趙載浩, 1702~1762)의 일상은 행정도시 대구의 다양하고 포괄적인 모습을 모여 준다. 같은 시기에 대구에서 거주하였던 사대부 최흥원(崔興遠, 1705~1786)의 일상은 대구 사대부의 생활과 관념을 보여주었다. 이렇게 사대부의 일상에서 본 18세기 대구는 개방적이고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는 도시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f Daegu in the 18th century. Daegu was the center of Gyeongsang-do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can be seen in two aspects, one is the institutional aspect of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and the other is the cultural aspect. Daegu has been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where observers reside since the establishment of Gyeongsang-do Gamyeong in 1601. Because of this, people and goods gathered. Daegu was the largest city in Gyeongsang-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Cities are places where people and goods gather, and an open and inclusive culture is created.
    The other is the cultural aspect. Nakdonggang River is joined by several streams of water in Yeongnam and gathers into one to penetrate the center of Yeongnam. The Nakdonggang River is a symbol of Yeongnam and penetrates the whole, forming a cultural area called Yeongnam Culture. This Yeongnam Culture created a variety of cultures by forming several cultural areas again. Daegu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two regions meet between the left and right cultures. Daegu was a place where both acade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Yeongnam converged.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confirmed the urban aspects of Daegu in the 18th century in the daily lives of its members. The daily life of Cho Jae-ho (1702-1762), who lived in Daegu as an observer of Gyeongsang-do in the 18th century, brings together various and comprehensive aspects of Daegu, an administrative city. The daily life of Choi Heung-won (1705-1786), the nobleman who lived in Daegu at the same time, showed the life and ideas of the nobleman in the city. In this way, Daegu in the 18th century, seen from the daily lives of the noblemen, was an open city where various cultures were fu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