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안남도 강서지역 3·1운동의 전개와 참여자 분석 (An Analysis of Developmen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the Gangseo Region of Pyoungannamdo Province and Participants of the Movement)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9.05
38P 미리보기
평안남도 강서지역 3·1운동의 전개와 참여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66호 / 43 ~ 80페이지
    · 저자명 : 이용철

    초록

    본고에서는 평안남도 강서지역의 3·1운동을 살펴보았다. 강서군은 대한제국기 증산군과 함종군, 강서군이 합쳐진 곳으로 북쪽으로는 평양, 남쪽으로는 진남포를 둔 교통의 요지였다. 이 같은 배경에서 일찍이 대한제국기 이래 애국계몽운동이 활성화되었고, 기독교와 동학이 전래되어 3·1운동 당시에는 굳건한 기반이 마련되어 있었다. 그 결과 강서지역에서는 3월 1일 천도교인에 의해 「3·1독립선언서」가 전달되었고, 3월 2일부터 기독교인의 시위를 시작으로 3월 9일까지 사실상 하루도 빠짐없이 지속적인 만세운동이 일어난 가운데 6월 중순까지 시위가 이어졌다. 그중 3월 3일 강서면 시위와 4일 반석면 사천시장 시위, 6일 함종면 시위는 각각 약 4,000명, 약 5,000명, 약 2,000명이 참여한 대규모 시위였다.
    한편 「판결문」과 「신분장지문원지」로 대변되는 일제의 수형자료를 통해 강서지역 3·1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된 이들을 살펴보면 총 76명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의 연령을 보면, 확인되는 74명 중 20대는 30명(40.5%), 30대는 24명(32.4%), 40대는 12명(16.2%), 50대는 6명(8.1%), 60대는 2명(2.7%)이었다. 가장 많이 파악되는 연령층은 20대로 절반에 가까운 40.5%였고, 그 다음으로는 30대가 24명으로 32.4%를 차지하고 있어 총 72%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강서지역의 3·1운동 역시 20~30대가 운동의 실질적인 동력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직업의 경우 확인되는 인물은 총 71명이었는데, 농업이 51명(71.8%), 상업 6명(8.4%), 교사 2명(2.8%), 무직 3명(4.2%), 기독교 교역자가 6명(8.4%), 학생 1명(1.4%), 의사 2명(2.8%), 구장 2명(2.8), 노동 1명(1.4)이었다. 가장 많은 직업은 농업으로 전체의 70%를 상회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상업과 기독교 교역자가 6명으로 많았다. 이외 구장이 2명이나 있었던 점은 나름 특징적인 현상이라고 생각이 된다. 죄명은 파악되는 70명 중 ‘보안법위반’이 66명(94.2%)이었지만, 특이한 것은 다른 지역 시위에서 좀처럼 찾아보긴 힘든 ‘放火’와 ‘殺人’ 등의 혐의를 중복적으로 갖고 있는 인물이 많았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保安法’·‘騷擾’·‘放火’·‘殺人’을 같이 위반한 인물은 총 14명(20%)이며, ‘放火’를 제외한 ‘保安法’·‘騷擾’·‘殺人’을 같이 위반했다는 구실로 기소된 인물은 총 20명(28.5%)이었는데, 이들이 모두 3월 4일 반석면 사천시장시위 참여자였다. 이로 인해 많은 참여자들이 높은 형을 받고 있었다. 형명·형기를 보면 확인되는 69명 중 사형 4명(5.7%), 무기징역 5명(7.1%), 징역 15년 10명(14.2%), 징역 10년 1명(1.4%), 5년 1명(1.4%), 3년 6월 1명(1.4%), 2년 3명(4.2%), 1년 4명(5.7%), 10월 2명(2.8%), 징역 9월 1명(1.4%), 징역 8월 1명(1.4%), 징역 6월 16명(22.8%), 태 90도는 21명(30%)이 확인되는데, 사형과 무기징역, 징역 15년 이상을 받은 인원의 총합이 무려 19명(27.1%)이나 되고 있었던 것이다. 특출나게 공세적인 시위가 발생한 곳이 아니라면 징역 10년형 이상을 받는 경우가 드문 점을 생각해볼 때 강서지역 3·1운동의 특징이 여실히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March First Movement that took place in the Gangseo region of Pyoungannamdo Province. During the period of the Daehan Empire, the Gangseo-gun consolidated three regions of Jeungsan- gun, Hamjong-gun, and Gangseo-gun. It was a transportation hub that was adjacent to Pyoungyang to the north and Jinnampo to the south. In this region, patriotic movements flourished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Daehan Empire, and with the arrival of Christianity and Donghak movement, firm foundations for collective movements were in place by the time of the March First Movement. On the day of the movement, a Cheongyodo follower delivered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Declaration to the Gangseo region, and triggered by a Christian on the following day, independence movement erupted everyday until March 9, and demonstrations lasted until mid-June. Among many demonstrations, three attracted a particularly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4,000 for a demonstration in Gangseo-myeon on March 3, 5,000 for a demonstration at Sacheon Market in Banseok-myeon on March 4, and 2,000 for a demonstration in Hamjong-myeon on March 6.
    According to Japanese documents on Korean prisoners, including the court ruling and ‘Shinbunjangjimunwonji’, identity could be confirmed for a total of 76 prisoners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subsequently arrested. Among them, age could be specified for 74 people. Thirty people were in their 20s(40.5%), 24 in their 30s(32.4%), 12 in their 40s(16.2%), six in their 50s(8.1%), and two in their 60s(2.7%). That is, people in their 20s represented nearly half(40.5%), followed by people in their 30s(32.4%). Combined together, they represented 72%, indicating that the movement in the Gangseo region was led by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Occupation could be specified for 71 imprisoned people, consisting of 51 farmers(71.8%), six businessmen(8.4%), two teachers(2.8%), three without jobs(4.2%), six Christians(8.4%), one student(1.4%), two doctors(2.8%), two district heads(2.8%), and one labor worker(1.4%). That is, farmers represented more than 70% of all imprisoned participants, followed by six businessmen. It is notable that there were no less than two district heads. A charge could be specified for 70 of the imprisoned people, and most were arrested for breaching the security law(66 people or 94.2%). What is peculiar is that many of them were arrested for more than one charge such as arson or murder, which was rare in other regions. Specifically, 14 people were charged for all of security law breach, sedition, arson, and murder(20%); 20 for all of these except for arson(28.5%). All of them participated in the demonstration that occurred at Sacheon Market in Banseok-myeon on March 4. Many of them received heavy punishment. Name of punishment and length of imprisonment could be confirmed for 70 imprisoned people. Four were sentenced to death(5.7%), five to life sentence(7.1%), ten were sentenced to 15 years of imprisonment(14.2%), one to ten years(1.4%), one to five years(1.4%), one to three years and six months(1.4%), three to two years(4.2%), four to one year(5.7%), two to ten months(2.8%), one to nine months(1.4%), one to eight months(1.4%), 16 to six months(22.8%), and 21 to 90 whipping(30%). That is, no less than 19 people were sentenced to death, life imprisonment or imprisonment of 15 years or longer(27.1%). Considering that it is rare to declare imprisonment of ten years or longer except in places where demonstrations were particularly violent, these records clearly show salient characteristic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that took place in the Gangseo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