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일제시기 하천조사와 낙동강 조사사업의 전개 (River Surveys from the Late Joseon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Development of the Nakdong River Investigation Project)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4.03
46P 미리보기
한말~일제시기 하천조사와 낙동강 조사사업의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87호 / 203 ~ 248페이지
    · 저자명 : 고나은

    초록

    1905년 일제는 한국 하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종사한 일본인 기사들은 하천을 ‘개발’하면 막대한 이익을 얻을 수 있으리라 확신하였다. 낙동강 역시 홍수 피해를 제거하면 하천 연안의 황무지를 양전(良田)으로 바꿀 수 있다고 보고 치수책을 제시하였다. 이는 낙동강 연안에 투자・정착한 일본인 지주의 이익을 보호하고, 일본인 지주・자본의 한국 투자 및 정착을 독려하는 효과를 가져올 방책이었다.
    강제병합 이후 일제는 본격적으로 수리‧이생포락 관습‧수력조사 등에 착수하였다. 이를 통해 치수・수리사업의 필요성을 절감한 일제는 1915년부터 1940년까지 하천조사사업을 실시해나갔다. 이 시기 낙동강 조사도 시행되었으며 한말 낙동강 치수책과 거의 동일한 개수계획이 수립되었다. 본 계획을 바탕으로 1926년 낙동강 개수공사가 시작되었다.
    일본인 지주・자본의 보호, 식민지 통치의 안정, 산업의 발달을 도모하고자 했던 일제는 하천조사와 하천개수의 필요성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그 자체로 일제의 자원이었던 식민지 조선에서 ‘하천’은 국토의 보전과 산업의 발달상 매우 긴요한 자원이었던 것이다. 이때 세세하고 면밀하게 이루어진 하천조사의 성격을 식민지 조선을 위한 ‘공공사업’ 차원으로만 파악할 수는 없을 것이다.

    영어초록

    To manage its colony effectively, Imperial Japan, which had conducted various surveys to meticulously understand the conditions within Korea, undertook comprehensive investigations of several rivers, including the Han, Geum, Daedong, and Nakdong Rivers in 1905. Japanese technical bureaucrats, deeply involved in these river surveys, generally regarded Korea’s flood control and irrigation practices as rudimentary. Consequently, they believed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n rivers would confer substantial benefits across multiple domains, including navigation, irrigation, flood control, and sanitation. Specifically, the team assigned to the Nakdong River in 1905 posited that mitigating flood damage could transform the river’s adjacent wastelands into arable lands. To this end, they proposed flood control strategies, such as constructing a waterway in the Nam River and undertaking a constriction project between Jakyungwan and Mulgeum. These measures were deemed essential to safeguard the interests of Japanese landlords who had made significant investments and established settlements along the Nakdong River’s coast. Furthermore, these initiatives were strategically aimed at fostering additional investment and settlement by Japanese landlords and capitalists in Korea. Therefore, for the Japanese authorities tasked with administering Korea, conducting river surveys was a critical preparatory activity.
    Following the forced annexation, Imperial Japan initiated comprehensive river surveys. Beginning in 1911, they embarked on the first and second phases of hydraulic surveys, which included assessments of sediment deposition from flooding and the impact on rice paddies along the Nakdong River, as well as evaluations of the river’s potential for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Acknowledging the imperative for flood control and irrigation projects derived from these surveys, Imperial Japan undertook the first and second phases of river survey projects between 1915 and 1940. In this interval, a river improvement plan, remarkably akin to the flood control strategies of the late Joseon period, was devised for the Nakdong River. Predicated on this plan, improvements to the Nakdong River commenced in 1926.
    Imperial Japan astutely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river surveys and enhancements. The protection of Japanese landlords and investments from flood hazards, the consolidation of colonial governance, and the facilitation of industrial growth, inclusive of the Rice Production Increase Plan, were paramount. The rivers of Korea served as crucial assets for both national conservation and industrial expansion for Japan. Hence, the intricate and thorough nature of these river surveys transcends the mere classification of ‘public works’ within colonial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