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정희의 <불의 강>에 나타난 도시적 삶의 억압 양상 (The pattern of oppressed metropolitan life which appears in The River of Fire of Jung-Hee Oh)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8.08
26P 미리보기
오정희의 &lt;불의 강&gt;에 나타난 도시적 삶의 억압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57권 / 303 ~ 328페이지
    · 저자명 : 김민옥

    초록

    본고에서는 오정희의 <불의 강>을 텍스트로 삼아 1970년대 소설에 나타난 도시적 삶의 억압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이 작품의 서사구조 분석을 통해 공간구조의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불의 강>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이항 대립적인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주인공의 행위에 따라 집 안→집 밖→집 안으로 공간의 전이가 이루어지는 중층 구조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인공들이 집 안과 집 밖에서 보이는 언술 체계의 분석을 통해, 내부 공간은 주인공들에게 불안감과 억압적 심리 상태를 지니게 하는 닫힌 공간으로, 외부 공간은 주인공들에게 해방감을 느끼게 만드는 열린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불의 강>의 주인공들이 살고 있는 집은 아파트 6층 꼭대기이다. 일반적으로 집은 외부세계로 열려 있는 창과, 다른 사람의 영역으로 통하는 문을 가진 상징이므로 개인과 외부세계, 곧 사회와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는 공간이다. 그러나 이 작품에 드러난 집은 탈수증으로 아이를 잃어 생기를 찾을 수 없고, 가족 간의 대화 없이 남편의 재봉틀 소리만이 가득하며, 외부세계와는 단절된 부정적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간의 성격은 아파트라고 하는 획일적인 공간이 지니는 특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며 도시적 삶의 억압적 양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남편이 일하고 있는 내재봉소의 재봉틀 소리가 집 안 곳곳을 채우고 있다는 서술을 통해, 이들이 살고 있는 공간이 이미 산업화와 도시화 인해 기계적인 일상적 삶이 지배하고 있는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화력발전소는 산업화와 기계화, 도시화라는 거대한 세계를 상징하는데, 더 이상 불을 피울 수 없다는 점에서 생명력을 상실한 아파트 공간과 일치된다. 따라서 주인공들은 발전소 건물에 대해 강한 적의를 품게 되는 것이다.
    주인공들이 지향하는 외부 공간은 일탈 행위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외부 공간으로 나왔을 때 인물들이 보이는 심리를 작품 속의 언술체계를 통해 살핀 결과 아내와 남편은 공통적으로 내부 공간에서 보이던 불안감이 해소되어 해방감을 느끼게 되며, 파괴 욕망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게 된다. 아내는 담배 피우는 행위와 잔디에 불을 놓은 소극적 행위를 통해, 남편은 산업화와 도시화에 반하는 시 쓰는 행위와 발전소에 불을 지르는 적극적인 행위를 통해 도시적 삶에 대한 파괴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 이것은 자신들을 지배하고 있는 기계적이고 획일적인 도시적 삶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몸짓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화력발전소에 대한 남편의 적극적인 ‘방화’ 행위는 도시적 삶의 획일적인 일상성에 대한 강한 적의의 표출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불이 지니는 속성 상 발전소만 소멸되고 주인공들은 생명력이 부재하는 아파트 공간으로, 기계적이고 획일적인 삶의 공간인 내재봉소로 귀환할 수밖에 없다.
    결국 이 작품은 도시적 삶의 억압체계로 상징되던 발전소의 공간이 남편의 일탈 행위로 인해 사라졌지만, 그들이 속해 있는 일상은 변하지 않고 그들의 삶을 계속적으로 지배할 것임을 보여준다. 즉, 우리 삶을 지배하고 도시라는 거대한 세계는 여전히 견고하여 결코 부서지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정희의 <불의 강>은 도시 공간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억압적 심리 상태와 일탈 욕망을 부각시켜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도시화의 억압적 측면이 얼마나 견고한가를 보여주고 있으며, 1970년대 산업화․도시화가 가져온 한국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attern of oppressed metropolitan life based on the 1970s’ novels, The River of Fire, written by Jung-Hee Oh The River of Fire talks of oppressed life in metropolis through the closed space of apartments (house), the oppressing space of power plant, and the closed up space of seamstress house. In order to understand it in detail, the space structure and the phraseology of the book were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iver of Fire places binary antagonism structure. The space moves in the pattern of home outside, home according to the character’s actions. By analyzing the phraseology of the characters in and out of the house, we can see the characters’ dislike for inside space and their desire for outside space.
    The space these characters reside in is the top floor of the apartment which is the 6th floor of the building which is the closed up space for the characters. Generally speaking, windows and doors symbolize access to the outside world. It is the space where relation to the society can be found. But in, The River of Fire a house is not a space symbolizing daily lives. The space is often described as a space where characters feel anxious and find it hard to settle down in the space. The character of the closed up space derives from the replicating concept of apartment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sewing machine sound filling up the seamstress house, we can understand that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truded the live soft he characters. That is why the characters long for outside and the open air are considered open space.
    The outside, which are desired by the characters of the novel, are where the characters become destructive and free. By studying the phraseology of characters when they are outside, both the husband and wife feels free from anxiety. They rebel against the world(industrialized and urbanized) with destructive behaviors. The wife behaves rather negatively by smoking and setting fire on the grass field. Her husband rebels rather positively by writing poems against urbanization and setting fire in power plants. The characters feel free from these activities. The freedom can be understood as escaping from dreadful and void life. Enmity against tedious ordinary life and oppressing city life was interpreted by the ‘urge for arson’ of the power plant which is the symbol of industrialization. This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desire for the recovery of the life which is subduing by the oppression. The arson of the power plant shows the husband’s strong enmity against the metropolitan life and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his desire for the recovery of his life energy.
    The River of Fire directly describes the life of urbanites via the image of disabilities. This signifies people who are no longer interested in connection to the world and un-motivated incompetence. The image of disabilities is thrown out from the world or negotiations are disconnected from the beginning. That is why the characters are grieved with alienations and they end up expressing it with violence.
    Among other urban novels of 1970s, The River of Fire of Jung-Hee Oh describes how strongly the urbanization is ruling our society by emphasizing oppressed mental status and desire for freedom. Jung-Hee Oh is describing the oxy moronic structure of the Korean society deriving from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1970s. The book offers an opportunity for us to contemplate the true state of metropolitan life style ruling our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