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發音島와 八禽島․長山島 그리고 姜莫只 (Bareumdo and Palgeumdo․Jangsando, and Gang Mak-j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11
29P 미리보기
發音島와 八禽島․長山島 그리고 姜莫只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1권 / 2호 / 41 ~ 69페이지
    · 저자명 : 정현창, 김병인

    초록

    이순신이 머물었던 섬, 강막지가 살았던 발음도는 장산도인가 팔금도인가 아니면 소안도인가 하는 논란이 있다. 이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우선 팔이도, 발음도, 장산도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고지도를 통하여 본 팔이도는 장산도와는 별개의 섬이었다. 고려시대나 조선 초기에는 팔흠도 혹은 팔음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발음도로 등장한다. 15세기에는 밣흠도, 그리고 17세기에 이르러서 팔이도로 불렸다. 팔이도는 지금의 팔금도를 말한다. 장산도가 발음도라는 주장에는 세 가지 근거가 제시되었는데, 이들 모두 타당하지 않았다. 첫째 <만기요람> 군정편의 내용을 근거로 19세기까지 안파현(安波縣)으로 사용되었다는 주장은 온당치 않았다. 둘째 장산도에서 바라본 비금도보다는 팔금도 채일봉에서 바라본 비금도가 눈앞이 더 시원하게 보인다. 셋째, 발음도 산에서 바라본 위치를 들어 장산도라고 주장하는 오류도 지적하였다. 그리고 발음도와 팔금도의 발음상 유사성이 ‘학계의 오기’가 아니라 ‘지명의 변천’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강막지는 발음도의 유력한 토착민 출신이며, 지방방어군 역할을 맡은 양인 출신의 염간으로서 이순신에게 유의미한 인물이었다. 강씨 입향조를 통하여 강씨의 발음도 입도 발자취를 추적해 본 결과, 진주강씨가 정유년 이전에 팔금도에 먼저 입도하였다. 정유년보다 훨씬 뒤에 강씨가 장산도에 입도한 것이다. 때문에 정유년 당시에는 팔금도가 발음도였음을 알 수 있다. 이순신이 아들 면의 전사 소식을 듣고 피를 쏟으며 통곡을 하였던 강막지 집이 있었던 섬, 고하도 이전에 일시적이나마 한 때의 통제사 진영이 있었던 섬, 이순신이 일기에 기록한 섬, ‘발음도’는 바로 ‘팔금도’였다. 팔금도는 정유년에 이순신이 강막지를 만났던 섬이었고, 자식을 잃고 하늘이 무너지는 아픔으로 통곡하였던 섬이었다.
    결론적으로 고지도와 강씨 입향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노기욱 등의 주장처럼 이순신이 머물렀던 발음도는 팔금도임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Bareumdo where Admiral Yi Sun-shin stayed and Gang Mak-ji lived has been the island of controversy on the name as Jangsando, Palgeumdo, or Soando.
    First of all, Parido was a separate island from Jangsando on the old map, and Bareumdo is rooted from Palheumdo and Pareumdo in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respectively, and then it was called Baleumdo in the 15th century, Parido in the 17th century. Parido is current Palgeumdo. This study found that the three grounds of the argument saying Jangsando is Bareumdo are not reasonable. First, the study discusses that the interpretation which it had been called Anpahyeon till the 19th century is not reasonable based on Gunjeong Part in <Mangiyoram>. Second, Bigeumdo overlooked from Chaeilbong of Palgeumdo gives the view opened out in front wider than from Jangsando. Third, the study indicated an error in the argument of Jangsando based on the location overlooking from Bareumdo mountains. In addit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similarity in the pronunciation between Bareumdo and Pareumdo is ‘changes of place name’, not ‘a mistake in records’.
    Next, the study reviewed Gang Mak-ji who was the figure important to Admiral Yi sun-shin and resided in Bareumdo. He was Yeomgan meaning a salt producer and served in the local defence forces as a commoner from native people. The review traced the history of how and when Gang family landed on the island, Bareumdo and settled down. The result showed that Jinju Gang Family landed on Palgeumdo first before the year of Jeongyu(1597) and then, Gang family landed on Jangsando much later than the year of Jeongyu. According to the result, Palgeumdo was called Bareumdo that time in the year of Jeongyu. The island where there was Gang Mak-ji’s house where Admiral Yi wailed at the news of his son, Myeon’s death on the battlefield, the island where there was the central military garrison, Tongjesa once before Gohado, the island that Yi mentioned in his diary, that is, the island ‘Bareumdo’ was just ‘Palgeumdo’, where Admiral Yi met Gang Mak-ji in the year of Jeongyu and wailed in mourning. His deep-rooted rancor against Japanese invaders might be derived from the wail in Bareumdo.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Palgeumdo is Bareumdo where Gang Mak-ji resided through the history of Gang family’s landing on the island and the old map, like Rho Gi-wook’s argu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would stop questioning the identity of Bareum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