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江原 嶺東地域 新石器時代 農耕受容과 生計樣相의 變化 (The Adoption of Agriculture and Changes in Subsistence Patterns in the Neolithic, Youngdong Region of Gangwon Provinc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4.10
32P 미리보기
江原 嶺東地域 新石器時代 農耕受容과 生計樣相의 變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서고고학 / 31호 / 4 ~ 35페이지
    · 저자명 : 趙銀河

    초록

    강원 영동지역에서는 5,000B.P.를 전후로 기후의 한랭화가 진행되어 이로 인한 생계환경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중기에는 조·전기에 비해 유적 규모가 확대되고 주거지의 면적도 증가하고 있어 인구의 증가가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신석기시대 중기에 발생한 이런 환경적 변화로 인해, 보다 풍부한 식료 자원을 안정적으로 취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새로운 식료취득방식으로 초기 농경의 기술이 유입된다고 추정하였다.
    초기 농경의 비중과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작물조성을 확인한 후 석기조성비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작물조성을 확인한 결과 조, 기장, 콩속 등의 작물재배가 확인되었다. 재배 형태는 신석기시대 중기 로 비정되는 고성 문암리유적의 밭유구를 통해 추정 가능한데, 유기물 집적층 위에 이랑과 고랑을 이용하여 작물들을 복합적으로 재배하는 형식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석기조성분석 결과 대체적으로 수렵채집에 관련된 석기는 증가하는 반면 농경에 관련된 석기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우가 확인되었다. 즉 농경 도입 이후 수렵채집이 오히려 강화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데, 농경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본격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익숙한 방식을 확대시켜 식료의 안정화를 선택하였던 결과로 보여진다.
    이를 통해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중기에 초기 농경이 시도되었지만 그 비중은 작았으며 오히려 수렵채집경제가 강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weather of Yeongdong region, Gangwon Province became cold closely before and after 5,000B.P. and changed the subsistence environment in the area. Also, the scales of relic and living area of the Middle Neolithic Period are larger compared to the before and the early part of the period so that the population increase during the period is assumed.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initial agricultural technique led the food acquisition measure for the purpose of stable and sufficient food resource due to such environmental change occurred in the Middle Neolithic Period.
    The analysis on the composition ratio of stone tool is attempted after verifying the cropcomposition to find the weight and the formation of early agriculture in the subsistenceeconomy. First,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n the crop composition, the crop farming of millet, hog millet and beans is verified. The crop style that is assumed according to the ancient crop filed in Munam-ri, Goseong considered to be from the Middle Neolithic Period refers a kind of farming for combined crops by forming ridges and furrows over the organic horizon. The stone tool analysis shows that stone tools related to the hunting and gathering are increasing in general while stone tools related to the agriculture are rather decreasing. Such result may refer that the stability of food was secured by rather extending the already familiarized method than actively applying the new method.
    From this outcome, it is found that, although the initial agriculture in Yeongdong region was attempted in the Middle Neolithic Period, the weight of agriculture was a little and the hunting and gathering economy was rather reinforc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서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