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동기시대 대동강 유역 팽이형토기문화와 고조선 (The Top-type Pottery Culture in the Daedong River Basin and the Gojoseon in the Bronze Ag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4.02
28P 미리보기
청동기시대 대동강 유역 팽이형토기문화와 고조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55호 / 141 ~ 168페이지
    · 저자명 : 송호정

    초록

    청동기시대에 대동강 유역에서 발전한 팽이형토기문화를 고조선과 연관시켜 해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대개 북한학계를 중심으로 고조선이 대동강 유역과 평양일대에 중심지를 두고, 만주까지 광대한 고대국가를 형성하였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고조선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의 무대가 대동강 유역의 평양 일대로 나온다. 그리고 멸망 당시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 지역에 설치된 낙랑군(樂浪郡) 조선현(朝鮮縣)의 위치가 문헌 및 고고 자료를 통해 볼 때 대동강 유역임이 분명해졌다.
    이 글은 이러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논증하기 위해 대동강 유역에서 최근에 조사된 주거지와 무덤 자료를 종합 분석하고, 그것이 초기 고조선 주민집단의 문화임을 입증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대동강 유역의 팽이형토기문화는 그 문화 요소의 밀집도로 보아 일정한 정치체 및 종족집단과 연결시킬 수 있는데, 그 정치체는 다름 아닌 청동기 시대의 고조선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해석하였다.
    대동강 유역의 팽이형토기문화는 요동 지역의 미송리형토기문화와는 일정한 차이를 갖고 있는 독자적인 청동기문화이다. 한편으로 팽이형토기문화는 요동지역의 미송리형토기문화와 함께 요령지역 비파형동검문화 범주 안에서 유사성을 갖고 있다. 이는 요동 지역에서 한반도 서북지방에 걸쳐 동일한 계통의 주민집단이 거주했음을 말해주는 하나의 증거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interpret the Top-type Pottery Culture developed in the Daedong River basin in the Bronze Age associating it with Gojoseon. By and large, mainly the North Korean academic circles argue that Gojoseon formed a vast ancient country putting the center in the Daedong River basin and the whole area of Pyongyang and extending its territory up to Manchuria.
    In 『Samguk yousa』, the stage of the myth of Dangun that is the birth myth of the nation Gojoseon is the whole area of Pyongyang in the Daedong River basin. And it became apparent that the location of Nanglanggun Joseonhyeon installed in the area of Wanggeomseong which was the capital of Gojoseon at the time of the fall of the country is the Daedong River basin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the literatures and archeological materials.
    In this article, in order to demonstrate such thought specifically, the materials of the residential areas and tombs recently investigated in the Daedong River basin were put together and analyzed and efforts were made to prove that these are the culture of resident group of the early Gojoseon. As a result of the efforts, the Top-type Pottery Culture in the Daedong River basin can be connected with a certain political body and an ethnic group considering the density of the cultural elements, and it was interpreted that the political body can be no other than Gojoseon in the Bronze Age.
    The Top-type Pottery Culture in the Daedong River basin is an independent Bronze Age culture which has a certain difference from the MiSongRi-type pottery Culture in the Liaodong area. On the other hand, the Top-type Pottery Culture has similarity to the MiSongRi-type pottery Culture in the Liaodong area within the category of the Mandolin-type Bronze knives Culture in the Liaodong area. It is thought that this is one of the proofs which tell that resident group of the same system dwelled over the Liaodong area and the northwes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4 오전